과거로부터 발전해온 컴퓨터는 정말 많은 일을 수행한다. 계산부터 문서작업, 게임 등등 하지만 네트워크 통신의 발달로 이메일 보내기, 채팅 외에도 Netflix, Youtube, 멀티 게임 등 전세계 사용자들에게 많은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두 컴퓨터 시스템이나 여러개의 시스템이 포함 될 수 있는데, 이들은 어떻게 소통하며, 메세지를 어떤식으로 전송하고, 어떻게 끝내는지 알 만한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프로토콜(protocol)이다.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합의된 규칙들의 집합을 말한다. 우리가 사회에서 행동하고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알기위해 사회적 프로토콜을 이용하듯 컴퓨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OSI 7 레이어라는 표준을 ISO에서 발표한 것처럼, 각 컴퓨터를 공급하는 업체는 다른 공급 업체와 통신을 할 수 없었기에 합의된 표준을 필요로 했다.
그 표준이 TCP/IP이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
OSI 모델이 탄생하기 전부터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된 프로토콜이다. TCP와 IP는 하나처럼 보이지만, 사실 별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IP 주소를 발견하면 TCP는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둘이 같이 쓰이기 때문에 TCP/IP 명칭이 붙은거다.
IP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주소를 얻는다.(일반적으로 IPv4, IPv6) TCP는 해당 IP주소를 찾으면 정확한 데이터 전달을 보장해준다. 그러나 TCP 독자적으로 활동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IP주소가 필요하다.
좀더 쉽게 생각하면 IP는 스마트폰에 할당된 전화번호, TCP는 다른 전화로 다른 사람과 통화할 수 있게 하는 모든 기술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
TCP/IP도 OSI 7 계층 처럼 4단계로 계층이 나뉜다. 그 계층을 알아보자.
1 Layer: Network Access Layer,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프로토콜: Ethernet, Token Ring, PPP, 무선랜 등이있다.2 Layer: Internet Layer,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IP, ARP, RARP, ICMP, OSPF 등이 있다.1 Layer: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UDP1 Layer: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프로토콜: DNS, HTTP, SSH, FTP, SMTP, DHCP 등이 있다.OSI 모델은 7계층, TCP/IP는 4계층
OSI 모델은 ISO에서 개발했다.
TCP/IP는 미정부기관 DARPA에서 개발을 시작하고, ARPANET을 통해 오늘날의 인터넷이 탄생.
OSI는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을 나타낸다.
OSI 모델에서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적이다.
TCP/IP 모델의 계층은 연결 지향적이고 비연결적이다.
OSI는 네트워크 계층을 사용하여 라우팅 표준 및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TCP/IP 는 인터넷 계층만 사용한다.
OSI는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을 나타낸다.
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ref: AVG TCP/IP, AVAST TCP/IP,네이버 블로그, guru99.com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