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 - Review -

Jongbeome·2021년 5월 25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8/10
post-thumbnail

배열

배열(array) 은 순서가 있는 값이다.

ex) let honor = [a, b, c, d, e];
  • 대괄호를 이용해서 배열을 만들고, 각각의 원소는 쉼표로 구분해준다.
  • index : honor 배열의 순서를 인덱스라 한다. (0부터 번호매김)
  • element : honor 배열의 a, b, c, d, e 를 요소라 한다.
  • honor 라고 입력하면 배열의 요소가 정리되어 나온다.
  • console.table(honor) 이라고 치면 해당 배열이 표로 정리되어 나타난다.
  • honor[3] 은 honor 라는 배열의 3번재 인덱스를 리턴한다.
ex) let honor = [[13, 30], [73, 8], [44, 17]];
  • honor 배열의 1번째 인덱스 값 구하기
    • honor[1] // [13, 30]
  • honor 배열의 1번째 인덱스값의 0번째 값 구하기
    • honor[1, 0] // [73]
  • honor.length; : 배열 길이 구하기

  • honor.push(66); : honor 라는 배열 끝에 () 값을 추가

  • honor.pop(); : honor 배열 마지막 값을 삭제

  • arr.shift(honor); : honor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 삭제

  • arr.unshift(77); : 배열의 첫번째 인덱스 77 추가

  • Array.isArray(honor) : honor 가 배열인지 아닌지 참 거짓으로 판별

  • arr1.concat(arr2) : arr1 배열과 arr2 배열을 합침

  • array.slice(start, end) : 배열의 start에 해당하는 요소부터 end 바로 이전의 요소까지 선택해서 새로운 배열을 만듬

  • array.splice()
    ex) let array = [1, 2, 3, 4, 5, 6, 7];
    array.splice(3, 1) // 3번쨰 배열의 1개 요소 제거
    → [1, 2, 3, 5, 6, 7]
    array.splice(3, 0, 66) // 3번째 베열에 0개 요소 제거, 66 추가
    → [1, 2, 3, 66, 4, 5, 6, 7]
    array.splice(2) // 2번째 배열 이후 모든 요소 제거
    → [1, 2, 3]

  • array.join()
    ex) let elements = ['Fire', 'Air', 'Water'];
    elements.join(); // "Fire,Air,Water"
    elements.join(''); // "FireAirWater"
    elements.join('-') // "Fire-Air-Water"

  • words.indexOf('the') : the 라는 단어가 words 라는 배열에 몇번쨰 인덱스에 있는지 확인 (출력값 : number), 해당 배열에 단어가 없을 경우 -1 출력

  • word.includes('Brouwn') : 배열에 Brown 이라는 단어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profile
초보 개발자 성장일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