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의 개수(2577) - JS

박정호·2022년 2월 3일
0

BAEKJOON

목록 보기
32/57
post-thumbnail

  1. A,B,C 에 세자리수 입력값 세개의 수를 저장합니다.
  2. result값에 A,B,C를 곱한 결과값을 저장합니다.
  3. resultarr값에 정수형인 result값을 문자형으로 변환 값을 저장합니다.
  4. i=0 일 경우, j는 resultarr의 길이만큼 반복을 실행합니다. 이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0값인 i값과 동일한 인덱스 값을 가질 경우 count가 하나씩 증가하는 것입니다. 그런 경우 인덱스 2,6,7 값이 0과 동일하므로 count가 총 3번 증가합니다.
  5. i=0 일 경우에 내부 for문이 종료되었으므로, count값 3이 출력됩니다.
  6. 그 이후로 i= 9일 때까지 반복될때까지 i와 동일한 resultarr[j]의 개수를 count를 통해 찍어낼 수 있습니다.

ex) i = 7 일 경우 (17037300)
내부 for문의 if문 조건에 성립하기 위한 resultarr[j] 값은 resultarr[1], resultarr[4] 입니다.
resultarr[1]이 7과 동일하므로 count 값이 증가하고 let count = 1 이 됩니다.
그리고 반복을 진행하다가 resultarr[4]일 때 count값이 또 다시 증가하게 되고, let count = 2 가 되어, 출력값이 2가 됩니다.

profile
기록하여 기억하고, 계획하여 실천하자. will be a FE developer (HOME버튼을 클릭하여 Notion으로 놀러오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