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습문제 함수(01)
def add(n1, n2):
return n1 + n2
def sub(n1, n2):
return n1 - n2
def mul(n1, n2):
return n1 * n2
def div(n1, n2):
return n1 / n2
def mod(n1, n2):
return n1 % n2
def flo(n1, n2):
return n1 // n2
def exp(n1, n2):
return n1 ** n2
while True:
print('-' * 60)
selectNum = input('1.덧셈, 2. 뺄셈, 3. 곱셈, 4. 나눗셈, 5.나머지, 6.몫, 7.제곱승, 8.종료')
if selectNum == 8:
print('프로그램 종료.')
break # while문 종료
num1 = float(input('첫 번째 숫자 입력: '))
num2 = float(input('두 번째 숫자 입력: '))
if selectNum == '1':
print(f'{num1} + {num2} = {add(num1, num2)}')
elif selectNum == 2:
print(f'{num1} - {num2} = {sub(num1, num2)}')
elif selectNum == 3:
print(f'{num1} * {num2} = {mul(num1, num2)}')
elif selectNum == 4:
print(f'{num1} / {num2} = {div(num1, num2)}')
elif selectNum == 5:
print(f'{num1} % {num2} = {mod(num1, num2)}')
elif selectNum == 6:
print(f'{num1} // {num2} = {flo(num1, num2)}')
elif selectNum == 7:
print(f'{num1} ** {num2} = {exp(num1, num2)}')
else:
print('잘못 입력했습니다. 다시 입력하세요.')
print('-' * 60)
잘못 입력했습니다. 문구가 바로 나오는 오류 발생 중 수정 필요함!
-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이동거리와 이동시간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 연습문제 함수(02)
# 거리(km) = 속도(km/h) * 시간(h)
def getDistance(speed, hour, minute):
distance = speed * (hour + (minute / 60))
return distance
# 100:75 = 60:x -> x = 75 * 60 / 100
def getTime(speed, distance):
time = distance / speed
print(f'time : {time}')
h = int(time) # 시간만 얻으면 됨
m = int((time - h) * 100 * 60 / 100) # 분 얻으면 됨
return[h, m] # 시간, 분 둘 받아야 함으로
print('-' * 60)
s = float(input('속도(km/h) 입력 : '))
h = float(input('시간(h) 입력 : '))
m = float(input('시간(m) 입력 : '))
d = getDistance(s, h, m)
print(f'{s}(km/h)속도로 {h}(h)시간 {m}(m)분 동안 이동한 거리 : {d}(km)')
print('-' * 60)
print('-' * 60)
s = float(input('속도(km/h) 입력 : '))
d = float(input('거리(km) 입력 : '))
t = getTime(s, d)
print(f'{s}(km/h)속도로 {d}(km) 이동한 시간 : {t[0]}(h)시간 {t[1]}(h)분 ')
print('-' * 60)
-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비행기 티켓 영수증 출력 함수를 만들어 보자.
# 연습문제 함수(03)
childPrice = 18000
infantPrice = 25000
adultPrice = 50000
specialDC = 50
def formatedNumber(n): # 숫자 예쁘게
return format(n, ',')
def printAirPlanereceipt(c1, c2, i1, i2, a1, a2): # c1 child, i1 infant, a1 adult
cp = c1 * childPrice
cp_dc = int(c2 * childPrice * 0.5) # 할인 계산
print('=' * 60)
print(f'유아 {c1}명 요금 : {formatedNumber(cp)}원')
print(f'유아 할인 대상 {c2}명 요금 : {formatedNumber(cp_dc)}원')
ip = i1 * infantPrice
ip_dc = int(i2 * infantPrice * 0.5) # 할인 계산
print(f'소아 {i1}명 요금 : {formatedNumber(ip)}원')
print(f'소아 할인 대상 {i2}명 요금 : {formatedNumber(ip_dc)}원')
ap = a1 * adultPrice
ap_dc = int(a2 * adultPrice * 0.5) # 할인 계산
print(f'성인 {a1}명 요금 : {formatedNumber(a1)}원')
print(f'성인 할인 대상 {a2}명 요금 : {formatedNumber(ap_dc)}원')
print('=' * 60)
print(f'Total : {c1 + c2 + i1 + i2 + a1 + a2}명')
print(f'TotalPrice : {formatedNumber(cp + cp_dc + ip + ip_dc + ap + ap_dc)}원')
print('=' * 60)
childCnt = int(input('유아 입력 : '))
spcialDCChildCnt = int(input('할인 대상 유아 입력 : '))
infanCnt = int(input('소아 입력 : '))
spcialDCInfantCnt = int(input('할인 대상 소아 입력 : '))
adultCnt = int(input('성인 입력 : '))
spcialDCAdultCnt = int(input('할인 대상 성인 입력 : '))
printAirPlanereceipt(childCnt, spcialDCChildCnt, infanCnt,
spcialDCInfantCnt, adultCnt, spcialDCAdultCnt)
-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재귀함수를 이용해서 팩토리얼 함수를 만들어보자.
def formatedNumber(n):
return format(n, ',')
def recursionFun(n):
if n == 1:
return n
return n * recursionFun(n-1) #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재귀 함수!
inputNumber = int(input(f'input number : '))
print(formatedNumber(recursionFun(inputNumber)))
-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단리/월복리 계산기 함수를 만들어보자.
def formatedNumber(n):
return format(n, ',')
# 단리 (최초 원금에 대한 이율만 +)
def singleRateCalculator(m, t, r): #단리 함수 m 원금, t 기간, r 이율
totalMoney = 0
totalRateMoney = 0
for i in range(t):
totalRateMoney += m * (r * 0.01)
totalMoney = m + totalRateMoney
return int(totalMoney)
# 월 복리
def multiRateCalculator(m, t, r):
t = t * 12 # 년을 월로 바꿔주기 위해
ratePerMonth = (r / 12) * 0.01
totalMoney = m
for i in range(t):
totalMoney += totalMoney * ratePerMonth
return int(totalMoney)
money = int(input('예치금(원) : '))
term = int(input('기간(년) : '))
rate = int(input('연 이율(%) : '))
print('[단리 계산기]')
print(f'{term}년 후 총 수령액 : {formatedNumber(singleRateCalculator(money, term, rate))}원')
print('[월복리 계산기]')
print(f'{term}년 후 총 수령액 : {formatedNumber(multiRateCalculator(money, term, rate))}원')
-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등차 수열의 n번째 값과 합을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 등차 수열 공식 : an = a1 + (n-1) * d
# 등차 수열 합 공식 : sn = n * (a1 + an) / 2
# 공식을 적용한 방법도 해볼 것 !
def sequenceCal(n1, d, n): # n1 초항, d 공차, n n항
valueN = 0; sumN = 0;
i = 1
while i <=n:
if i == 1:
valueN = n1
sumN = valueN
print(f'{i}번째 항의 값 : {valueN}')
print(f'{i}번째 항까지의 합 : {sumN}')
i += 1
continue
valueN += d
sumN += valueN
print(f'{i}번째 항의 값 : {valueN}')
print(f'{i}번째 항까지의 합 : {sumN}')
i += 1
inputN1 = int(input('a1 입력 : '))
inputD = int(input('공차 입력 : '))
inputN = int(input('n 입력 : '))
sequenceCal(inputN1, inputD, inputN)
- 다음과 같이 출력 될 수 있도록 등비 수열의 n번째 값과 합을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 등비 수열(일반항) 공식 : an = a1 * r^(n1-1)
# 등비 수열(합) 공식 : sn = a1 * r^(n1-1) / (1-r)
def sequenceCal(n1, r, n):
valueN = 0; sumN = 0
i = 1
while i <= n:
if i == 1:
valueN = n1
sumN = valueN
print(f'{i}번째 항의 값 : {valueN}')
print(f'{i}번째 항까지의 합 : {sumN}')
i += 1
continue
valueN *= r
sumN += valueN
print(f'{i}번째 항의 값 : {valueN}')
print(f'{i}번째 항까지의 합 : {sumN}')
i += 1
inputN1 = int(input('a1 입력 : '))
inputR = int(input('공비 입력 : '))
inputN = int(input('n 입력 : '))
sequenceCal(inputN1, inputR, inputN)
이 글은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의 강의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