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2일차) OAuth

빡기·2020년 2월 19일
0

TIL(Today I Learned)

목록 보기
16/43

OAuth란

  • 인증과 권한을 부여하는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인증방식이 없어서 Twitter의 주도로 OAuth 1.0이 탄생
  • 다양한 플랫폼 환경에서 유저의 비밀번호를 Third party앱에 제공 없이 인증,인가를 할 수 있는 산업 표준 프로토콜

oauth

OAuth를 이용한 인증 절차

  1.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사이트의 App project 등록을 함
    (등록시 유의 사항 실제 사용 사이트를 등록하려면 Https로 꼭 해야함!!!)
  2. 우리 사이트만의 발급 받은 App ID 및 App 비밀번호를 부여 받는다
  3. 우리 사이트의 SDK 설정을 하고 사용(구글,페이스북,트위터의 API를 로드하는 부분)

SDK VS API

API

  • 페이스북,구글,트위터의 기능을 제어하려면 페이스북에서 공급해주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는데 이것들을 통틀어서 API라고 함(공급사이트쪽 핸들러)

SDK

  • 해당 사이트의 기능들을 사용하려면 복잡한 기능들을 이용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러한 API 기능들을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것들을 SDK(우리 사이트쪽 핸들러)

profile
Front End. Dev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