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D.2W-정렬 문제

Dazz_heyDay ·2021년 7월 20일
1

Python) Algorithm_study

목록 보기
19/39

✏️문제 [위에서 아래로]

문제

하나의 수열에는 다양한 수가 존재하며, 이런 큰 수는 크기와 상관 없이 무작위로 주어진다. 이 수를 큰 수부터 작은 수까지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되는 문제다. 즉 수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된다.

입력
첫째 줄에 수열에 속해 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때 범위는 1 <= N <= 500
둘째 줄부터 N + 1 번째 줄 까지 N개의 수가 입력된다. 수의 범위는 1 이상 100,000 이하 자연수
출력
입력으로 주어진 수열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결과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하면된다. 동일한 수는 순서상관없다.

입력예시
3
12
3
34
출력예시
34 12 3

code

n = int(input())
arr1=[]
for i in range(n):
    arr1.append(int(input()))
arr2 = sorted(arr1,reverse=True)
for i in arr2:
    print(i,end=" ")

해답

# N 입력 받기
n = int(input())

# N개의 정수를 입력 받아 리스트에 저장
array = []
for i in range(n):
    array.append(int(input()))

# 파이썬 정렬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내림차순 정렬 수행
array = sorted(array, reverse=True)

# 정렬이 수행된 결과를 출력
for i in array:
    print(i, end=' ')
   

✏️문제[성적이 낮은 순서로 학생 출력하기]

문제

N명의 학생의 성적 정보가 주어진다. 형식은 이름 성적 으로 주어지는데 이때 이들의 성적이 낮은 순으로 학생 이름을 출력하는 문제다.

입력
첫 번째 줄에 학생의 수 N이 입력된다. (1 <= N <= 100,000)
두 번째 줄 부터 N+1 번째 줄 까지 학생의 이름 그리고 성적이 공백으로 주어진다. 학생이름 길이는 100이하, 성적은 100이하 자연수로 주어진다.
출력
모든 학생의 이름을 성적이 낮은 순으로 출력하면된다. 동일한 성적은 자유롭게 출력하면된다.

입력 예시
3
김민 90
박민 78
홍민 86

출력 예시
박민 홍민 김민

code

n=int(input())
stu=[list(input().split()) for _ in range(n)]
stu.sort(key=lambda x: x[1])

for n,_ in stu:
  print(n, end='')

해답

# N 입력 받기
n = int(input())

# N명의 학생 정보를 입력 받아 리스트에 저장
array = []
for i in range(n):
    input_data = input().split()
    # 이름은 문자열 그대로, 점수는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저장
    array.append((input_data[0], int(input_data[1])))

# 키(Key)를 이용하여, 점수를 기준으로 정렬
array = sorted(array, key=lambda student: student[1])

# 정렬이 수행된 결과를 출력
for student in array:
    print(student[0], end=' ')

✏️문제 [두 배열의 원소 교체]

문제
동빈이는 두 개의 배열 A와 B를 가지고 있다. 두 배열은 N개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열의 원소는
모두 자연수이다
동빈이는 최대 K 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바꿔치기 연산이란 배열 A에 있는 원소 하나와
배열 B에 있는 원소 하나를 골라서 두 원소를 서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동빈이의 최종 목표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여러분은 동빈이를 도와야한다
N, K, 그리고 배열 A와 B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최대 K 번의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하여 만들 수 있는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예를 들어 N = 5, K = 3이고, 배열 A와 B가 다음과 같다고 해보자
배열 A = [1, 2, 5, 4, 3]
배열 B = [5, 5, 6, 6, 5]

이 경우, 다음과 같이 세 번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연산 1) 배열 A의 원소 '1'과 배열 B의 원소 '6'을 바꾸기
연산 2) 배열 A의 원소 '2'와 배열 B의 원소 '6'을 바꾸기
연산 3) 배열 A의 원소 '3'과 배열 B의 원소 '5'를 바꾸기
세 번의 연산 이후 배열 A와 배열 B의 상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것이다

배열 A = [6, 6, 5, 4, 5]
배열 B = [3, 5, 1, 2, 5]
이때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은 26이 되며, 이보다 더 합을 크게 만들 수는 없다

입력
첫 번째 줄: N, K 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1 <= N <= 100,000, 0 <= K <= N)
두 번째 줄: 배열 A의 원소들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원소 a < 10,000,000인 자연수)
세 번째 줄: 배열 B의 원소들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 (원소 b < 10,000,000인 자연수)
출력
최대 K번 바꿔치기 연산을 수행해서 가장 최대의 합을 갖는 A의 모든 원소 값의 합을 출력

code

n,k=map(int, input().split())
a=list(map(int, input().split()))
b=list(map(int, input().split()))

a.sort()
b.sort(reverse=True)
for i in range(k):
  a.append(b.pop(0))
  b.append(a.pop(0))

print(sum(a))

해답

n, k = map(int, input().split()) # N과 K를 입력 받기
a = list(map(int, input().split())) # 배열 A의 모든 원소를 입력받기
b = list(map(int, input().split())) # 배열 B의 모든 원소를 입력받기

a.sort() # 배열 A는 오름차순 정렬 수행
b.sort(reverse=True) # 배열 B는 내림차순 정렬 수행

# 첫 번째 인덱스부터 확인하며, 두 배열의 원소를 최대 K번 비교
for i in range(k):
    # A의 원소가 B의 원소보다 작은 경우
    if a[i] < b[i]:
        # 두 원소를 교체
        a[i], b[i] = b[i], a[i]
    else: # A의 원소가 B의 원소보다 크거나 같을 때, 반복문을 탈출
        break

print(sum(a)) # 배열 A의 모든 원소의 합을 출력
profile
Why.Not.Now

3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7월 20일

안녕하세요, 김덕우입니다. 두번째 문제에서 pop()을 사용할 생각은 하지 못했는데, 새로운 방법 알아갑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7월 21일

안녕하세요 😊입니다 ㅎㅎ 정렬 코드가 생각보다 짧아서 저번주보다 할만 한 것 같아요,,! 사실 당장 내일이라도 맘이 바뀔지도 모르지만,,😂 벌써 수요일이네요 남은 날들 같이 화이팅해요!!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7월 21일

안녕하세요 알고리줌입니다
3번째 문제 pop append 원소 교체하는게 코드도 짧아지고 좋은 코드인것같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답글 달기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