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gth
: 문자열의 길이를 나타냄indexOf()
lastIndexOf()
search()
💡 indexOf vs search
둘의 공통점
1. 처음 검색된 값 반환
2. 일치하는 값이 없을 경우 -1 반환차이점
1.search
: 정규식 사용 허용 / 다른 시작 위치를 인수로 지정 불가능
2.indexOf
: 정규식 사용 비허용 / 다른 시작 위치를 인수로 지정 가능정규표현식을 사용하려면 search를, 좀 더 빠르고 간단하게 이용하려면 indexOf를 쓰는 편이 용이함
slice(시작인덱스, 종료인덱스)
substr(시작위치, 길이)
replace()
toUpperCase()
toLowerCase()
includes()
startsWith()
endsWith()
🎵 Now Playing - boolean은 혼란스럽다
!
는 부정연산자로 true → false, false → true로 반환
!!
는 부정을 부정하기 때문에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boolean 타입으로 명시적으로 형 변환 하는 데 사용 (undefined
나 null
을 위해)
✔️ 꼭 알아야 하는 세 가지
console.log(`${!!undefined}`); // false
console.log(`${!!null}`); // false
console.log(`${!!NaN}`); // false
논리가 없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해하려고 하지 말 것
왜? 혹은 뭐였지? 라고 생각이 들 때 확인하면서 사용할 것
예제 1
예제 2
드모르간 법칙
object의 변수명을 선언해 준 다음 key:value
의 형태로 데이터 삽입
${}
를 통해 데이터를 불러올 수도 있고, 체이닝 형태로도 값을 삽입하고 불러올 수 있음
💡 잠깐 맛보기!
프로토타입은 어떻게 사용할까?
- 아래 예시처럼
replace
는String.prototype.replace()
으로 앞에 prototype이 붙으므로 인스턴스에 붙여서 사용
Docsconsole.log(String(10)); conosle.log('1234'.replace('23','99'));
String.fromCharCode()
처럼 prototype이 붙지 않은 경우에는 String 그대로 사용
Docsconsole.log(String.fromCharCode(189, 43, 190, 61));
학부생 때 온갖 이론 강의마다 빡세게 머리에 넣었던 스택과 큐
시험 기간 때마다 네모 박스 그려 놓고 push & pop 했던 때를 떠올리며 다시 되짚어 보자!
LIFO(Last In First Out)
구조push()
: 스택으로 아이템을 삽입pop()
: 스택에서 아이템을 추출FIFO(First In First Out)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