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 특정 요소만 출력할 수 없다.in
연산자를 사용한다.set_t1 = {}
set_t2 = set([iterable])
mamamoo = {"솔라", "휘인", "화사", "문별", "제니"}
a = set('apple')
# {'e', 'l', 'a', 'p'}
{}
를 사용하지만, 초기값으로 {}
를 사용하면 dictionary가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mamamoo = {"솔라", "휘인", "화사", "문별", "제니"}
if "솔라" in mamamoo:
print("yes")
# 결과 값은 True, False
if "사나" not in mamamoo:
print("yes")
# not in 연산자 사용하여 특정 값이 없는지 확인
업데이트 예정
m = {"솔라", "휘인", "화사", "문별", "제니"}
t = set(["솔라", "휘인", "제니"])
print(m | t)
print(m.union(t))
# 실행 결과
{'화사', '제니', '솔라', '휘인', '문별'}
{'화사', '제니', '솔라', '휘인', '문별'}
m = {"솔라", "휘인", "화사", "문별", "제니"}
t = set(["솔라", "휘인", "제니"])
print(m & t)
print(m.intersection(t))
# 실행 결과
{'휘인', '제니', '솔라'}
{'휘인', '제니', '솔라'}
m = {"솔라", "휘인", "화사", "문별", "제니"}
t = set(["솔라", "휘인", "제니"])
print(m - t)
print(m.difference(t))
# 실행 결과
{'문별', '화사'}
{'문별', '화사'}
두 집합 중 겹치지 않은 요소만 포함한다.
m = {"솔라", "휘인", "화사", "문별", "제니"}
t = set(["솔라", "휘인", "제니", "로제"])
print(m - t)
print(m.difference(t))
# 실행 결과
{'문별', '화사', '로제'}
{'문별', '화사', '로제'}
집합 연순 후 할당 연산자 =
를 사용하여 결과를 변수에 할당한다.
연산식 | 메서드 |
---|---|
세트1 |= 세트2 | 세트1.update(세트2) |
세트1 \&= 세트2 | 세트1.intersection_update(세트2) |
세트1 -= 세트2 | 세트1.difference_update(세트2) |
세트1 \^= 세트2 | 세트1.symmetric_difference_update(세트2) |
연산의 결과는 Boolean
으로 나온다.
연산식 | 메서드 | 설명 |
---|---|---|
현재세트 <= 다른세트 | 현재세트.issubset(다른세트) | 현재 세트가 다른 세트의 부분 집합인지 |
현재세트 < 다른세트 | (메서드 없음) | 진부분집합인지 확인 |
현재세트 >= 다른세트 | 현재세트.issuperset(다른세트) | 다른 세트의 상위 집합인지 확이 |
현재세트 > 다른세트 | (메서드 없음) | 현재 세트가 다른 세트의 진상위집합인지 확인 |
현재세트 == 다른세트 | (메서드 없음) |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순서가 없으므로 요소만 같으면 참. |
현재세트 != 다른세트 | (메서드 없음) |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순서가 없으므로 요소가 다르면 참. |
(연산식 없음) | 현재세트.isdisjoint(다른세트) | 현재 세트가 다른 세트와 겹치지 않는지 확인 |
add(x)
세트에 요소를 추가한다.
remove(x)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discard(x)
세트에서 특정 요소를 삭제하고, 요소가 없으면 그냥 넘어간다.
pop()
세트에서 임의의 요소를 삭제하고 해당 요소를 반환한다. 요소가 없다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clear()
세트에서 모든 요소를 삭제한다.
len(set_variable)
세트의 길이를 구한다.
copy(set)
기존의 세트를 복사하여 새로운 세트를 만든다.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