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Body를 사용하면 응답 코드를 설정하기 어려운 반면, @ResponseStatus(HttpStatus.OK)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응답 코드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애노테이션이기 때문에 응답 코드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는 없다.
프로그램 조건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하려면 ResponseEntity 를 사용하면 된다.
@ResponseStatus(HttpStatus.OK)
@ResponseBody
@GetMapping("/response-body-json-v2")
public HelloData responseBodyJsonV2() {
HelloData helloData = new HelloData();
helloData.setUsername("userA");
helloData.setAge(20);
return helloData;
}
참조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mvc-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