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DVA 항해기 - EC2 인스턴스 스토리지 - EC2 인스턴스 스토어

에옹이다아옹·2025년 11월 9일
0

AWS-DVA

목록 보기
11/21

EBS는 네트워크로 붙는 블록 스토리지라서 성능이 좋지만, “물리적으로 로컬 디스크(NVMe Instance Store)만큼 무제한은 아니다”

❓왜 “네트워크 드라이브 + 제한된 성능”이라고 할까?

  • 네트워크 경유: EBS는 인스턴스 바깥의 스토리지 장비에 저장되고, 전용 네트워크로 블록 I/O를 주고받아요. 로컬 장치가 아니라서 추가 지연(latency)이 발생

  • 볼륨 자체 한도: 각 볼륨 타입(gp3, io2, st1 등)은 IOPS/Throughput 상한이 있음 (원하는 만큼 무한히 늘지 않음)

  • 인스턴스 한도: 인스턴스 타입별로 EBS 대역폭(GB/s)과 총 IOPS에 상한이 있어음 => 볼륨이 빨라도, 인스턴스가 허용하는 총량을 넘을 수 없음

  • 버스트/크레딧 모델: 일부 타입은 버스트 크레딧이 있어 짧게는 빠르지만 지속 부하는 떨어질 수 있음

  • 멀티테넌시: 동일 AZ 내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인프라 위에서 돌아가므로, 일부 상황에서 변동성이 있을 수 있음(요즘은 꽤 안정적이지만 개념적으로 존재)

💡 하드웨어적인 고성능이 필요하면 EC2 인스턴스 스토어를 사용❗️

EC2 vs EC2 Instance vs EC2 Instance Store vs EBS

  • EC2: 컴퓨트 서비스 이름(플랫폼)

  • EC2 인스턴스: 그 서비스 위에서 실행되는 가상 머신(네가 띄우는 서버)

  • EC2 Instance Store: 인스턴스가 올라가는 물리 호스트에 붙은 로컬 NVMe 디스크(옵션) / 인스턴스 타입에 따라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음
    보통 …d, i3/i4 같은 일부 인스턴스 타입이 그 로컬 디스크를 탑재

  • EBS: 네트워크로 붙는 영속 블록 스토리지(같은 AZ에 있어야 attach 가능)

EC2 Instance Store를 쓰는 이유?

  • 더 나은 I/O(저장장치에 읽고/쓰는 속도와 반응성) performance를 위해

    I/O Performance
    1. 지연시간(Latency)

      “한 번 읽기/쓰기 요청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ms, µs)
      낮을수록 즉각 반응.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처럼 작고 랜덤한 작업에 중요.

    2. IOPS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1초에 읽기 /쓰기를 몇 번 처리하나" (보통 작은 블록, 랜덤 I/O 가정)

      수치가 높을수록 작은 요청을 많이 동시에 처리 가능. 키–값 저장소, OLTP DB 등에 핵심.

    3. 처리량/스루풋(Throughput)

      “초당 몇 MB/GB를 연속으로 옮기나” (MB/s, GB/s).

      큰 파일을 순차적으로 이동/처리하는 작업(ETL, 로그 압축, 영상 처리)에 중요.

  • 왜 EC2 Instance Store가 I/O에 유리하냐?

    로컬 NVMe라서 네트워크를 안 타고 바로 호스트 디스크에 접근 →
    지연시간이 매우 낮고, IOPS/처리량이 크게 나옴

    단, 휘발성이라 중지/종료/호스트 이슈 시 데이터가 사라짐 → 캐시/임시/버퍼/스크래치 용도에 적합
    => 필요에 따라 백업이나 복제를 해두는 것이 좋다


Instance Store vs EBS

항목Instance Store(로컬 NVMe)EBS(네트워크 블록 스토리지)
지연/속도매우 낮은 지연·고성능좋지만 네트워크 경유
지속성휘발성(중지/종료/호스트 이슈 시 소실)영속
관리 기능스냅샷/암호화/크로스AZ 없음(직접 설계)스냅샷·암호화·크기조정 등 풍부
루트 볼륨가능(Instance-store-backed: 정지/시작 불가)표준(EBS-backed: 정지/시작 가능)
사용처캐시/스크래치/빌드 temp, 초고 I/ODB 데이터, 영속 파일, 일반 워크로드
profile
숲(구조)을 보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