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install?hl=ko
File -> New -> New Project -> Empty Activity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아래와 같이 폴더가 구성되어 열린다.
app
: 앱의 소스 코드와 리소스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
manifests
: AndroidManifest.xml 파일이 위치함. 앱의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안드로이드 시스템이 앱을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
java
: Java 코드가 위치하는 폴더. Basic Activity로 생성된 프로젝트에서는 MainActivity.java 파일이 포함됨. 앱의 메인 화면인 Activity를 구현함.
res
: 앱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파일이 위치하는 폴더. layout 폴더, 이미지 파일, 문자열이나 색상 등의 리소스가 여기에 포함된다.(UI용)
Gradle Scripts
: Gradle 빌드 스크립트가 위치하는 폴더. Gradle은 안드로이드 앱을 빌드하고 패키징하는데 사용되는 빌드 Tool이다. build.gradle 파일은 프로젝트 빌드 설정을, settings.gradle 파일은 프로젝트 모듈을 설정한다.
우리가 App을 개발할 때 주로 사용하는 폴더는 java
와 res
이다.
com.example.프로젝트명
: 앱의 Java 소스 코드 파일들이 위치하는 폴더.com.example.myapplication
은 앱의 패키지 이름을 나타낸다.이 폴더에서
MainActivity
는 앱의 첫 화면을 나타내는 Activity이다.하나의 Activity당 하나의 화면을 나타낸다.
com.example.프로젝트명 (androidTest)
: UI 테스트 코드 작성. 앱의 실제 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UI 요소들을 조작하고, 결과를 검증한다.
com.example.프로젝트명 (Test)
: 단위 테스트 코드를 작성. 앱의 각각의 unit 코드들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며, 해당 코드들이 예상한 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한다.
drawable
: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 앱에서 사용되는 모든 이미지 파일들이 포함. 기본적으로 앱 아이콘을 만들기 위해ic_launcher_foregroudn.xml
와ic_launcher_background.xml
이 포함되어 있다.
layout
: 레이아웃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 레이아웃 파일은 UI 요소들이 배치되는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
menu
: 앱에서 사용되는 메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XML 파을을 저장.
mipmap
: 앱 아이콘 이미지 파일들을 저장하는 폴더
values
: 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값들을 저장하는 폴더.
colors.xml
파일은 앱에서 사용하는 색상 값들을 정의하고,strings.xml
파일은 앱에서 사용하는 문자열 값을 정의.
styles.xml
파일은 앱에서 사용되는 스타일 값을 정의한다.
Figma에서 디자인한 UI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1. Figma에서 디자인한 UI를 이미지로 export해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import
2. Figma에서 디자인한 UI를 보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내에서 Custom하여 적용
추천하는 방법은 2
방법이다.
1
방법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적용하면 이미지가 뭉개진다..
Figma는 단순히 디자인만 집중해서 만들 수 있는 디자인 Tool이고,
Figma는 제약 없는 환경에서 자유롭게 UI 디자인 작업물을 도출하고, 실제 앱 개발을 위한 일부 코드를 따오거나(색상 코드를 따오거나...) 정도의 용도라고 한다.
2
방법은 res/drawable
에서 사용할 버튼, 이미지, 배경 등을 xml 코드로 생성한 후, res/layout
에 원하는 layout에 참조해서 사용하면 된다.
자세한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