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nore를 왜 사용하는지 : 빌드파일, 실행파일같이 재생성이 되는 불필요한 파일들을 제외하고 github에 올리기 위함
desktop github 로그아웃 한 뒤에 다른 컴퓨터에서 재로그인하여 접속했으면 repository를 다시 클론 하여야 한다.
머지 방식 2개 : desktop에서 바로 머지, full request를 이용하여 머지
데이터를 가공(연산)하는 모든 명령에 필요한 것들
1) 어떤종류의 연산자들이 있는지
2) 우선순위 : 어떤 순서로 연산이 진행되는지
3) 결합순서 : 좌측부터 연산하는 연산자, 우측부터 연산하는 연ㅅ나자.
<코드>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 endl;
결과
int left_value2 = 27;
int right_value2 = 5;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 endl;
결과
!!실수주의!!
left_value = 14; cout << left_value++ << endl; // 출력 : 14 , 메모리 : 15
left_value = 14; cout << ++left_value << endl; // 메모리 : 15, 출력 : 15
관계연산자 : 두 값을 비교한 결과가 참(1, true))인지 거짓(0, false)인지 반환하는 연산자
-> < : a < b : 왼쪽 항의 값이 오른쪽 항의 값보다 작으면 참, 아니면 거짓(크거나 같을때)
-> > : a > b : 왼쪽 항의 값이 오른쪽 항의 값보다 크면 참, 아니면 거짓(작거나 같을때)
-> <= : a <= b : 왼쪽 항의 값이 오른쪽 항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참, 아니면 거짓(클때)
-> >= : a >= b : 왼쪽 항의 값이 오른쪽 항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참, 아니면 거짓(작을때)
-> == : a == b : 왼쪽 항의 값이 오른쪽 항의 값과 같으면 참, 아니면 거짓(크거나 작을때)
-> != : a != b : 왼쪽 항의 값이 오른쪽 항의 값고 다르면 참, 아니면 거짓(같을때)
----> 실제 실습
고객의 나이를 입력받아서 미성년자(19세 이하)이면 true를 출력, 성인이면 false를 출력.
입력받은 나이를 기준으로 주민등록증 발급대상(20살이상)이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출력.
(+사항) 아홉수(1의자리가 9인수)인지 확인해서 true, false를 출력
<<소스코드>>
int cinAge;
cout << "나이를 입력하시오 : ";
cin >> cinAge;
cout << "미성년자? >> " << boolalpha << (cinAge <= 19) << endl;
cout << "주민등록증 발급대상? >> " << boolalpha << (cinAge == 20) << endl;
cout << "아홉수? >> " << boolalpha << ((cinAge % 10) == 9) << endl;
결과
==> 출력을 true, false로 하기 위해서는 'boolalpha'를 사용!!!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산술연산자
int left_value = 14;
int right_value = 3; // 값을 0으로 바꾸면 *까지 출력지만 /, %는 런타임에러 발생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cout << "% : " << left_value % right_value << endl << endl;
//복합대입연산자
int left_value2 = 27;
int right_value2 = 5;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cout << left_value2 << " %= " << right_value2 << " => ";
left_value2 %= right_value2;
cout << left_value2 << endl << endl;
//증감연산자
//left_value++; //15
cout << left_value++ << endl; // 출력 : 14 , 메모리 : 15
//++left_value; //16
cout << ++left_value << endl; // 메모리 : 16, 출력 : 16;
cout << "초기 값 : " << left_value << endl;
cout << "출력문 안 변수앞에 증감연산자 : " << --left_value << endl; //메모리 : 15, 출력 : 15
cout << "출력문 안 변수뒤에 증감연산자 : " << left_value-- << endl; //출력 : 15, 메모리 :14
left_value--; // 증감연산자로 인해 13
cout << "증감연산자(변수뒤) 먼저 한 뒤에 출력 : " << left_value << endl;
--left_value; // 증감연산자로 인해 12
cout << "증감연산자(변수앞) 먼저 한 뒤에 출력 : " << left_value << endl << endl;
int cinAge;
cout << "나이를 입력하시오 : ";
cin >> cinAge;
cout << "┌────────────────────────────────────────────────────────┐" << endl;
cout << "│ 미성년자 맞죠?? >> \t\t\t" << boolalpha << (cinAge <= 19) << "\t\t │" << endl;
cout << "│ 주민등록증 발급대상인가요?? >> \t" << boolalpha << (cinAge == 20) << "\t\t │" << endl;
cout << "│ 아홉수인가요?? >> \t\t\t" << boolalpha << ((cinAge % 10) == 9) << "\t\t │" << endl;
cout << "└────────────────────────────────────────────────────────┘" << end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