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줄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를 뜻하며,
텍스트를 입력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다.
ls : 리스트출력
ls -l : 리스트 상세 출력(사용권한, 소유자, 그룹, 크기, 날짜 등 상세정보 출력)
ls –a : 보이지 않는 리스트까지 출력
cd [폴더명] : 입력한 폴더로 이동
cd ~ : home으로 이동
cd .. : 한단계 상위폴더로 이동
mkdir [폴더명] : 폴더 생성(띄어쓰기 후 여러개 생성 가능)
touch [파일명] : 입력한 파일생성(띄어쓰기 후 여러개 생성 가능)
mv [파일명] [폴더명/파일명] : 파일을 입력한 폴더로 이동
mv [파일명] [변경될파일명] : 현재파일을 입력한 파일명으로 변경
pwd : 현재 작업중인 폴더의 절대경로가 출력
cat [파일명] : 파일내용확인
cp [폴더명/파일명] [복제될파일명] : 폴더의 파일을 현재 폴더에 복제
rm [파일명] : 파일 삭제(폴더불가능)(띄어쓰기 후 여러개 삭제 가능)
(.[파일종류]를 입력하면 해당 파일 종류 모두 삭제)
rmdir [폴더명] : 폴더삭제(단, 빈폴더가 아닐 경우 삭제 안됨)
rm -rf [폴더명] : 비어있지 않은 폴더 삭제
[명령어] —help : 명령어 도우미
Homebrew는 macOS 및 Linux용 패키지 관리자이다.
% brew -v
버전 확인
% brew update
Homebrew 최신버전 업데이트
% brew search [패키지명]
설치가능한 패키지 검색
% brew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설치
% brew un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 삭제
% brew info [패키지명]
패키지 정보 보기
% brew upgrade [패키지명]
패키지 업그레이드
% brew upgrade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
% brew list
설치된 패키지 리스트 보기
컴퓨터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1. Homebrew 홈페이지에 들어가 설치 명령어 복사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command+ space 키를 눌러 "terminal"을 검색하고 실행.("터미널"도 됨!)

3. 터미널에 명령어 붙여넣기

Password:라는 문구가 출력 된다면 맥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입력할 때 비밀번호가 안보입니다. 그냥 입력하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 된 후에 brew help 명령어흫 통해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 해 주세요!

1. 터미널에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brew install git

2. 잘 설치 되었는지 확인한다.
git --version

GIT에 들어간다.
windos 클릭
![]()
**Standalone Installer과 Portable 두 가지가 있다.
Standalone은 실행파일을 다운 받고, Portable은 무설치 버전 파일이다. 즉,
exe파일이 아닌 7z 압축파일이 설치된다.
![]()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파일을 실행한다.
![]()
![]()
GIT이 설치 될 경로
추가적으로 설치할 Componenets를 선택한다.
icons
Windows Explorer integration
Git LFS (Large File Support)
Associate .git* configuration files with the defalut text editor
Associate .sh files to be run with Bash
Check daily for git for Windows updates
(NEW!) Add a Git Bash Profile to Windows Terminal
Let Git decide
Override the default branch name for new repositories
Use Git from git bash only
Git from the command line and also frm 3rd-party software
Use git and optional unix tools from the command prompt
Use bundled openssh- Git에서 제공되는 opensh 번들 을 사용한다.
Use external openssh- 외부 opensh를 사용한다.
Use the OpenSSL library
Use the native Windows Secure Channerl library
Checkout Windows-style, commit Unix-style line endings
Checkout as-is, commit Unix-xtyle line endings
Checkout as-is, commit as-is
이 옵션은 저장소에서 이미 다른 줄 바꿈 문자 처리방식으로 커밋된 파일들이 함께 있을 때, 파일의 줄 바꿈 문자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
Use MinTTY(the default terminal of MSYS2)
Use Windows' default console window
Default(fast-forward or merge
Rebase
Only ever fast-forward
fast-forward는 Git에서 브랜치 병합을 수행할 때, 브랜치 이력을 간단히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merge는 두 개 이상의 브랜치를 병합하는 작업이다.
![]()
Git Credential Manager
None
Enable file system caching
Enable symbolic links
Enable experimental support for pseudo consoles
Enable experimental built-in file system monitor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
GIthub는 다음에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