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협업구조)

강준영·2025년 4월 8일
0
post-thumbnail

“Git과 GitHub는 무엇인가”를 주제로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Git과 GitHub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정리해보면서 그 구조와 협업 흐름까지 함께 익히게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그 과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먼저 이 글은 화자의 부끄러운 행위로 인해 사라진 5시간을 GPT를 이용하여 커버친 글 임을 알리고 싶습니다.
너가 잘못한거면서 왜 알리냐구요?

슬프잖아


Git이란?

Git은 로컬(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버전 관리 도구이다.

작업을 하다가 실수했을 때 이전 상태로 돌아가고 싶을 때가 있다.

Git은 작업 히스토리를 저장해주기 때문에,
마치 타임머신처럼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Git은 코드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실수에 대비할 수 있는 도구라고 이해하면 된다.


GitHub란?

GitHub는 Git으로 관리되는 파일을 온라인에서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이다.

Git은 로컬에서만 동작하지만,

GitHub는 이를 클라우드 공간에 올려서 다른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쉽게 말하면, Git은 도구이고, GitHub는 그 도구를 협업으로 확장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혼자서 협업 흐름을 따라가 보기

나는 이번 과제를 통해 협업을 직접 해본 것은 아니지만, GitHub 협업 흐름을 혼자 따라 해보면서 간접적으로 체험해볼 수 있었다.

저장소 만들기와 Clone

**GitHub에 저장소를 만든 후, 로컬 컴퓨터에 해당 저장소를 복사(clone)했다.**
git clone https://github.com/내아이디/내저장소.git

이 명령어는 GitHub에 있는 파일을 내 컴퓨터로 가져오는 작업이다.

브랜치 생성

협업에서는 main 브랜치에서 직접 작업하지 않고, 기능별 브랜치를 따로 만들어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그래서 나도 아래와 같이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보았다.
git branch feature/test

feature/test라는 새로운 브랜치에서 독립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커밋 및 푸시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GitHub에 업로드한다.
git add .
git commit -m "기능 구현"
git push origin feature/test
  • add는 변경 파일을 Git에 추가하는 명령어이고,

  • commit은 변경 내용을 저장하는 기록이며,

  • push는 이를 원격 저장소(GitHub)에 업로드하는 작업이다.

PR(Pull Request) 생성 및 Merge

GitHub에서 feature/test 브랜치를 main 브랜치에 병합(Merge)하기 위해 PR(Pull Request) 를 생성하였다.

PR은 말 그대로 “이 작업 내용을 반영해도 될까요?”라고 요청하는 절차이다.

보통은 팀원들이 이 PR을 보고 코드 리뷰를 진행한 뒤
문제가 없을 경우 merge하게 된다.

나는 혼자였기 때문에 직접 PR을 만들고 직접 Merge를 진행하였다.


실습을 통해 알게 된 협업 흐름

혼자서 협업을 하지는 않았지만, 브랜치 분기 → PR 생성 → 머지 → main 최신화 이 과정을 따라가 보면서 실제 협업에서는 어떤 흐름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단계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의미


브랜치 생성ㅤㅤㅤㅤㅤㅤ기능별로 작업을 분리하여 충돌 방지
PR 생성ㅤㅤㅤㅤㅤㅤㅤㅤ작업 내용을 팀에 공유하고 리뷰 요청
리뷰 & Mergeㅤㅤㅤㅤㅤ코드 검토 후 메인 브랜치에 반영
Pull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팀의 최신 코드 받아오기

느낀 점

처음에는 Git과 GitHub 모두 낯설고 어렵게 느껴졌다. 하지만 실습을 통해 각 개념의 역할과 협업 흐름을 이해하게 되었다. 특히, 혼자서도 GitHub의 협업 흐름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이 앞으로 팀 프로젝트나 과제에서 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이 글은 GPT의 도움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이런 지피티 딸깍 날먹을 안하기 위해 더 조심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profile
훈수 해주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