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릿(Servlet)

S·2023년 11월 18일
0

1. 서블릿

  • 자바로 만든 CGI 프로그램을 '서블릿(Servlet)'이라고 부른다.
  • 자바 서블릿이 다른 CGI 프로그램과 다른 점은, 웹 서버와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지 않으며, 전문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된다는 것이다.

2. CGI 프로그램

  • 웹 서버와 프로그램 사이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규칙을 CGI(Common Gateway Interface)라 한다.
  • 웹 서버에 의해 실행되며 CGI규칙에 따라서 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작성된 프로그램을 'CGI 프로그램'이라 한다.
  • CGI프로그램은 C, C++, Java와 같은 컴파일 언어 및 Perl, PHP, Python, VBScript 등 스크립트 언어로도 작성할 수 있다.

3. 서블릿 생성

package lesson03.servlets;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
import javax.servlet.ServletConfig;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ServletResponse;

public class HelloWorld implements Servlet {
	ServletConfig config;

	@Override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destroy() 호출됨");
	}

	@Override
	public ServletConfig getServletConfig() {
		System.out.println("getServletConfig() 호출됨");
		return this.config;
	}

	@Override
	public String getServletInfo() {
		System.out.println("getServletInfo() 호출됨");
		return null;
	}

	@Override
	public void init(ServletConfig 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System.out.println("init() 호출됨");
		this.config = config;
	}

	@Override
	public void service(ServletRequest arg0, ServletResponse arg1)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service() 호출됨");
	}

}
  • 서블릿의 생명주기와 관련된 메서드
    init(): 서블릿 컨테이너가 서블릿 생성 후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호출됨.
    service():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 마다 호출됨.
    destroy(): 서블릿 컨테이너의 종료, 웹 어플리케이션의 정지, 해당 서블릿을 비활성화 시킬 때 호출됨.

  • 서블릿의 기타 메서드
    getServletConfig(): 서블릿 설정 정보를 다루는 ServletConfig 객체를 반환.
    getServletInfo(): 서블릿을 작성한 사람에 대한 정보, 서블릿 버전, 권리 등을 담은 문자열을 반환.

4. 서블릿 배치 정보 작성

<?xml version="1.0" encoding="UTF-8"?>
<web-app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http://java.sun.com/xml/ns/javaee" xsi:schemaLocation="http://java.sun.com/xml/ns/javaee 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3_0.xsd" id="WebApp_ID" version="3.0">
  <display-name>web03</display-name>
  
  <!-- 서블릿 선언 -->
  <servlet>
  	<servlet-name>Hello</servlet-name>
  	<servlet-class>lesson03.servlets.HelloWorld</servlet-class>
  </servlet>
  
  <!-- 서블릿을 URL과 연결 -->
  <servlet-mapping>
  	<servlet-name>Hello</servlet-name>
  	<url-pattern>/Hello</url-pattern>
  </servlet-mapping>
  
  <welcome-file-list>
    <welcome-file>index.html</welcome-file>
    <welcome-file>index.htm</welcome-file>
    <welcome-file>index.jsp</welcome-file>
    <welcome-file>default.html</welcome-file>
    <welcome-file>default.htm</welcome-file>
    <welcome-file>default.jsp</welcome-file>
  </welcome-file-list>
</web-app>
  • 서블릿을 만들었다면 web.xml에 배치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서블릿 컨테이너가 서블릿을 찾을 수 없다.

5. 서블릿 실행과 종료

  • 서블릿의 생성에 따라 init()이 호출되고, 요청에 따라 service()를 호출되었다.
    두번째 호출에서는 init()이 다시 호출되지 않고 service()이 호출되는걸 확인했다.
    서버를 종료했을 때, destory()가 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