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0824
def solution(num_list):
answer = [0, 0]
for number in num_list:
if number % 2 == 0:
answer[0] += 1
else:
answer[1] += 1
return answer
answer
배열을 선언하고, num_list
에 있는 원소들을 하나씩 꺼내 홀짝을 검사하고 answer
의 0
번 인덱스에는 짝수, answer
의 1
번 인덱스에는 홀수의 개수를 담았다.def solution(num_list):
answer = [0,0]
for n in num_list:
answer[n % 2] += 1
return answer
0
이고, 홀수라면 1
이 나오니 조건문 연산을 하지 않아도 되는 멋있는 접근 방식이다.0
번 인덱스에, 홀수를 1
번에 할당하라고 한 이유가 있겠지..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