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의 필요성은 알고 있었지만 작은 프로젝트들만 진행하다보니 발만 걸치는 느낌으로 했었다.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할 일이 없어서 성능 테스트라는 말도 잘 와닿지 않았어서 자꾸 넘겨버리게 되었는데 이번에 직접 해보면서 필요성을 느껴보고자 정리했다. 이론적인 부분 위
성능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 도구를 사용해보고자 한다. 이전 글에서도 말했듯이 k6, jmeter를 대부분 사용하는 것 같다고 했는데, 나는 k6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이유는 k6는 javascript 기반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직관적이고 내가 빨리 익힐 수 있을 것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