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L 사용법

박철현·2023년 3월 8일
0

DB

목록 보기
2/4

DB DDL 쿼리 사용법

DDL : CREATE, ALTER, DROP 사용법
1) CREATE (DB, TABLE 생성)

  • CREATE DATABASE [이름]; // 데이터베이스 생성
    → CREATE DATABASE a; // a 데이터베이스 생성
  • CREATE TABLE [테이블명] (필드명 데이터형식) // 테이블 생성
    → CREATE TABLE t1 (te1 INT); // INT형의 te1 필드(열)을 갖는 t1 테이블 생성
    → NOT NULL, PRIMARY KEY(기본키), AUTO_INCREMENT(인자 자동 증가 - 사전 기본키 지정 필수), UNIQUE(중복 x) 등 옵션 추가 하며 생성 가능

2) ALTER(테이블 요소 수정) : DML(조작어)이 아닌 DDL(정의어) 이기에 내용 자체를 수정하기 보다는 구조 수정

  • 테이블 열 추가하기
    ->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LUMN [컬럼명][데이터타입] [FIRST|AFTER]
    → ex) ALTER TABLE a ADD COLUMN t2 INT (UNSIGNED NOT NULL); // a테이블에 UNSIGNED INT t2 속성(열) 추가 (NULL불가)

  • 기본키 추가하기
    ->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PRIMARY KEY(속성)
    → ex) ALTER TABLE a ADD PRIMARY KEY(t1); //a 테이블 t1속성 기본키 지정

  • 테이블 열 삭제하기
    ->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LUMN [컬럼명]
    → ex) ALTER TABLE a DROP COLUMN t2; // a테이블에 t2 속성(열) 삭제

  • 컬럼 변경
    ->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COLUMN [컬럼명][변경사항]
    → ex) ALTER TABLE t2 MODIFY COLUMN INT UNSIGNED NOT NULL AFTER t1; // t1 다음으로 보내기 추가, 기존 사항도 모두 적어줘야함..

  • 컬럼 이름 변경
    -> ALTER TABLE [테이블명] CHANGE 변경전 변경후 속성그대로
    → ALTER TABLE article CHANGE t1 mt1 VARCHAR(100) NOT NULL; // t1 → mt1 이름 변경

3) DROP(테이블, 데이터베이스 삭제)

  • DROP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 DROP DATABASE (IF EXISTS) a; // a라는 데이터베이스 (존재하면) 삭제

  • DROP TABLE [테이블명]
    → DROP TABLE a; // a라는 테이블 삭제

profile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