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두 개 이상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
인터넷 : 여러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그물망처럼 하나로 연결된 것
네트워크 구성 요소
허브 : 하나의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단말 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단말 수만큼 포트 수를 늘려 분배하는 역할
-> 단순히 네트워크를 분배하는 역할만 수행
-> 받은 메세지를 보고 어디로 보내야 할 지 판단해야 하는 과정이 없음
-> 데이터를 공유하고 싶은 단말장치에서 출발지 MAC/ 도착지 MAC 주소를 적은 요청 메세지를 허브에게 전달 -> 허브는 출발지 외 나머지 모든 단말장치에게 메세지 전송 --> 메세지를 받은 단말장치 쪽에서 도착지 정보를 확인하고 나의 MAC주소와 일치하면 수신(다르면 무시)
-> 허브는 네트워크를 분배하는 역할만 수행할 뿐 데이터의 수신지를 구분해서 도착지에 전달하는 기능은 없음
스위치 : 허브의 단점 해결
-> 도착지 한 곳에만 메세지를 전달
-> MAC 주소 테이블 : MAC 주소를 기준으로 단말 장치가 스위치 어느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나타남
-> 데이터를 공유하고 싶은 단말장치에서 출발지 MAC/ 도착지 MAC 주소를 적은 요청 메세지를 스위치에게 전달 -> 스위치는 어느 포트에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지 확인--> 도착지의 MAC주소에 해당하는 포트번호를 찾고 해당 포트에 메세지를 전송
-> 허브와 달리 도착지 한 곳만 메세지를 보내므로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듦
MAC 주소 테이블 생성 방법
1)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음
2) 스위치 자신이 자신을 통해 오가는 메세지를 확인하여 테이블 업데이트 할 수 있음
-> ARP 사용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주소 결정 프로토콜
-> 네트워크에서 IP주소에 대응되는 MAC 주소를 결정하는 규약
-> 도착지의 MAC 주소 정보를 모르는 상황에서 IP주소를 이용하여 MAC주소를 찾는 방법
-> 한 단말장치에서 스위치에게 ARP 요청 메세지를 보내면, 수신을 확인하고 테이블 업데이트(보낸 녀석의 포트번호와 맥주소를 알 수 있으니깐)
-> 이후 스위치가 수신한 단말장치를 제외한 모든 단말 장치에게 받은 메세지를 복사하여 전달(플러딩)
-> 나머지 단말장치에서 수신한 메세지에 담긴 IP정보가 자신의 IP정보와 같은지 확인하고, 같으면 ARP 응답 메시지(출발지 MAC 주소와 자신의 MAC 주소)를 스위치에게 전송
-> 스위치는 ARP 응답 메시지를 확인하여 테이블에 해당 정보 추가
허브와 스위치 공통점 : 활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게 도와줌
-> 단말장치들은 ARP 테이블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고 싶은 컴퓨터의 MAC 주소를 확인하고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여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 장치들이 연결된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음
-> 라우팅테이블 : 네트워크 주소, 서브넷 마스크, 출력 인터페이스(포트 정보)를 정보로 가짐
방식
-> 라우터로 메세지 전달 -> 메세지에 담긴 도착지 IP 이용 -> 라우팅 테이블에 있는 모든 서브넷 마스크와 메세지에 담긴 도착지 IP를 비교 -> 메세지를 전달해야 하는 네트워크의 주소를 알아 냄 -> 해당 주소와 연결된 포트(출력 인터페이스)로 메세지 전달
여러 네트워크 장비를 거쳐가면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 데이터 통신 가능
(라우터 : 다른 네트워크 / 스위치 :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기기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