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mode : 우리가 개발하는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유저모드로 실행
user mode -> Kernel mode
Kernel mode : 프로그램의 현재 CPU 상태를 저장함
Kernel mode -> user mode : 중단됐던 부분에서 다시 이어서 실행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 시스템의 전반을 관리/감독하는 역할 + 하드웨어와 관련된 작업을 직접 실행
Interrupt : 시스템에서 발생한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혹은 그러한 이벤트를 알리는 메커니즘
종류 : 5가지 외에도 추가로 있음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에서는 즉각적으로(인터럽트 발생한 순간 실행중인 명령어 까지 마무리 한 뒤 커널이 통제받아)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 커널 코드를 커널 모드에서 실행
시스템 콜 : 프로그램이 OS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을 때 시스템 콜을 통해 실행
종류
시스템 콜이 발생하면 해당 커널코드가 커널 모드에서 실행
프로그래밍언어와 시스템 콜 : 하드웨어 혹은 시스템 관련 기능은 어떤 프로그램이라도 반드시 시스템 콜을 통해서만 사용 가능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시스템 콜을 포장(wrapping)하여 간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
ex) 자바에서 Thread 클래스 : OS System call 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