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후기] [입문용] 프로토콜과 OSI 7 layer 설명! 네트워크의 기능들이 어떻게 구조화 돼서 동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

박철현·2023년 4월 2일
0

영상후기

목록 보기
68/160

movie

  • 네트워크의 기능

    •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 제공
      • 어플리케이션 사이 필요한 기능
    •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제공
      • 어플리케이션 사이 어떻게 안정적인 데이터를 전송할지
    • 네트워크 간 최적의 통신 경로 결정
    • 목적지로 데이터 전공
      • 어플리케이션 동작하는 host 사이를 어떻게 전송할지
    • 노드 사이 데이터 전송
      • 목적지로 가며 거치는 노드들 사이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전송할지
  • 네트워크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통신을 하기 위해 통신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따라야 하는 형식, 절차, 규약

  • 네트워크의 모든 기능을 하나의 프로토콜로 구현할 수 없음

    • 구현한다 하더라도 유지보수의 어려움 존재
    • 하나의 class에서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것과 같음
    • 모듈화 필요(기능별 분리)
    • 어플리케이션끼리 어떻게 통신할지, 데이터를 어떻게 보낼지, 노드 사이에 데이터를 어떻게 보낼지 등 계층별로 기능이 동작하는 것 같아 계층구조로 모델링
  • OSI model(7 Layer) : 범용적인 네트워크 구조

  • TCP/IP stack(4 layer) : 인터넷에 특화된 네트워크 구조

  • 각 레이어에 맞게 프로토콜이 세분화돼서 구현

    • 각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하위 레이어의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동작(network layer : data link layer의 기능 사용하여 기능 구현)
  • application layer :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 제공

    • HTTP, DNS, SMTP, FTP 등
    • 실제로 애플리케이션간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하위 계층 어딘가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application layer에서 신경쓸 대상이 아님
  • presentation layer :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서 메시지 포맷 관리

    • 인코딩 <-> 디코딩 / 암호화 <-> 복호화 / 압축 <-> 압축 풀기
  • session layer :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서 세션을 관리

    • RPC(remote procedure call)
  • 위 3개는 application layer로 보는게 좋을 듯

  • transport layer :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 담당

    • 목적지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법
    • 실제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것은 관심사가 아님(Network Layer의 관심사)
    •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 TCP
    • 필수 기능만 제공 UDP
  • newtwork layer : 호스트 간 통신 담당(IP)

    •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찾아갈 수 있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 간의 최적의 경로 결정
    • 경로를 담당하는 것이지 각각의 노드들이 어떻게 전송할지는 관심사가 아님
  • data link layer : 직접 연결된 노드 간의 통신 담당

    • MAC 주소 기반 통신
      • ARP : IP -> MAC 주소 변환 프로토콜
  • physical layer : bit 단위로 데이터 전송

  • encapsulation : 포장 / decapsulation : 포장 풀기

profile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