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02.16
🔗 문제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6798
문제 설명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
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이 2라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무기점에서 공격력이 2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무기를 만들 때, 무기의 공격력 1당 1kg의 철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무기점에서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미리 계산하려 합니다.
기사단원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number
와 이웃나라와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나타내는 정수limit
와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을 나타내는 정수power
가 주어졌을 때, 무기점의 주인이 무기를 모두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철의 무게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시간 초과로 정확성 66.7/100을 맞았다.
이중 for문을 모든 i에 대하여 돌리니 시간 복잡도가 너무 높아졌다.
using System;
public class Solution {
int Divisor(int num) {
int cnt = 0;
for(int i = 1; i <= num; i++) {
if(num % i == 0) cnt++;
}
return cnt;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limit, int power) {
int answer = 0;
for(int i = 1; i <= number; i++) {
int temp = Divisor(i);
if(temp > limit) answer += power;
else answer += temp;
}
return answer;
}
}
그래서 약수를 구하는 함수를 조금 개선하였다.
Time: 0.31 ms, Memory: 31.4 MB 로 성능 좋은 코드는 아니지만 어쨌든 풀이했다.
using System;
public class Solution {
int Divisor(int num) {
int cnt = 0;
for(int i = 1; i *i <= num; i++) {
if(num % i == 0) {
cnt++;
if(i*i < num) cnt++;
}
}
return cnt;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limit, int power) {
int answer = 0;
for(int i = 1; i <= number; i++) {
int temp = Divisor(i);
if(temp > limit) answer += power;
else answer += temp;
}
return answer;
}
}
배열로 약수를 저장한 형태는 훨씬 성능이 좋은 것을 알게되었다. 내가 오답으로 작성한 코드와 유사한데도 통과가 된다.
성능은 위의 정답과 비슷하게 출력된다.
using System;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limit, int power) {
int answer = 0;
int[] count = new int[number+1];
for(int i=1;i<=number;i++)
{
for(int j=i;j<=number;j+=i)
{
count[j]++;
}
}
for(int i=1;i<=number;i++)
{
//Console.WriteLine(i + " count : " + count[i]);
if(count[i] > limit) count[i] = power;
answer += count[i];
}
return answ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