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화살표 함수를 쓸 때마다 뒤 괄호 쓰는게 헷갈려서
정리하고 기억하기 위해 기록!
.map((x) => { // 여러 줄 코드 가능 const double = x * 2; return double; // 반드시 return 필요 });
{} 는 “코드 블록”
return 없으면 무조건 undefined
여러 줄 쓸 때 주로 사용
.map((x) => ({ value: x * 2 }))
그냥 {} 쓰면 블록으로 인식 → undefined
객체를 반환하려면 반드시 ()로 감싸야 함
❌ 잘못된 예시
.map((x) => { value: x * 2 }) // 블록으로 해석 → undefined
.map((x) => x * 2)
한 줄 계산식은 자동으로 반환(return 생략 가능)
단순한 값 변환할 때 편리
{ } = 블록 → return 꼭 써야 함
( { } ) = 객체 → return 없이도 객체 반환
그냥 값 → return 생략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