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Codecademy Quiz(7,8)

PYOUNANI·2022년 9월 18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3/3
post-thumbnail

1번

함수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아래의 (정답입력) 빈칸을 채워주십시오.
const areaOfTriangle(x, y) => {
  console.log(x * y * 1/2);
};

const area = (정답 입력)
area();
정답

areaOfTriangle;

2번

반복자와 콜백함수를 이용하여 빈칸을 채워주십시오.
//아래의 예시는 고차함수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const arr1 = [2, 4, 6];
const arr2 = [];

for(let i=0; i<arr1.length; i++) {
  arr2.push(arr1[i] * 3);
}

// prints [6, 12, 18]
console.log(arr2);
//위의 예시를 참고하여 빈칸을 채우시오.

const arr1 = [2, 4, 6];

const arr2 = arr1.(정답입력)

console.log(arr2);
정답

map(function(item){
return item * 3;
});

3번

올바른 반복자를 빈칸에 채워주십시오.
const friuts = ['apple', 'grapes', 'blueberry', 'lemon', 'melon', 'pear', 'orange', 'strawberry', 'kiwi'];

//  정의되지 않은 값을 반환할 메서드를 선택
friuts(정답입력)(fruit => console.log('My Favorite Fruit: ' + fruit));

// 새 배열을 반환할 메서드 선택
const longFriuts = friuts(정답입력)(fruit => fruit.length > 9);
정답

.forEach, .filter

4번

올바른 반복자를 빈칸에 채워주십시오.
const nums = [1, 54, 8, 9, 45, 16, 23, 38, 40, 11, 79];

// 새 배열을 반환할 메서드 선택
const largerNums = nums(정답입력)(num => num + 3);

// 부울 값을 반환할 메서드 선택
nums(정답입력)(num => num === 0);
정답

.map, .every

5번

빈칸에 올바른 코드를 채워 주십시오.
let  person = {
  name: 'YouNa',
  age: 20,
  gender: 'woman'
};

// gender 속성을 삭제
(정답입력)
정답

delete person.gender;

6번

중첩객체에서 속성을 접근하는 방법을 활용해 빈칸을 채워 주십시오.
const people = {
  num: 1,
  word: "hi",
  a: {
    name: "김씨",
    major: "컴공",
    age: 22,
    'favorite food': 'cake'
  },
  b: {
    name: "이씨",
    major: "화공",
    age: 20,
    'favorite food': 'candy'
  },
 c: {
    name: "박씨",
    major: "전자공",
    age: 24,
   'favorite food': 'cookies'
  }
};

// c객체 'favorite food'을 'cookies'가 아니라 'chocolate'로 바꾸시오.
(정답입력)
정답

people.c['favorite food'] = 'chocolate';

7번

잘못된 코드입니다. 틀린 부분을 찾아 고쳐주십시오.
let  person = {
  name: 'YouNa',
  age: 20,
  gender: 'woman'
  printAge(){
    console.log(age);
  }
};
정답

console.log(age); -> console.log(this.age);

8번

고차함수를 완성하시오.
const divisionTwoNum = (num1, num2) => {
  return num1 / num2;
}

// divisionTwoNum가 제대로 작동을 했는지 확인을 목적으로 하는 고차함수를 작성할 예정입니다. 
내부에 checkA를 선언하여 매개변수로 받은 두 수를 나눠준 값을 넣어줍니다.
내부에 checkB를 선언하여 콜백함수의 호출을 저장합니다.
두 변수의 값이 같다면 콜백함수의 결과를 반환하고 같지 않다면 'inconsistent results'를 출력하시오.

const checkConsistentOutput = (코드입력)

console.log(checkConsistentOutput(divisionTwoNum, 10, 5));
정답
  const checkConsistentOutput = (func, val1, val2) => {
  let checkA = val1 / val2;
  let checkB = func(val1, val2);
  if(checkA === checkB){
    return func(val1, val2);
  } else{
    console.log('inconsistent results');
  }
}

9번

reduce를 이용하여 코드를 완성하시오.
const numbers = [2, 4, 6, 8, 10, 12, 14, 16];

// reduce를 이용하여 numbers 모든 요소들을 곱하여 그 값을 구하시오.

const summedNums = (코드입력)
 
console.log(summedNums)
정답
  numbers.reduce((accumulator, currentValue) => {
  return accumulator * currentValu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