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6일 인천 인하대학교 60주년 기념관열린 2025 Google I/O Extended Incheon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작년에 송도에서 개최했을 때도 다녀왔는데, 그때는 회고를 적지 못했고 올해는 직접 들은 세션과 전체적인 분위기에 대해서 회고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작년에 참석했을때도 인천까지 다녀오는 것이 굉장히 고되고 피곤해서 올해는 어떡하나 싶었지만, 멘토링을 하는 동아리 회원들에게 이러한 개발자 컨퍼런스를 꼭 경험시켜주고 싶었습니다. 첨에는 권유만하고 같이 안갈까 하다가 그래도 1년에 한번밖에 없는 행사인만큼 시간을 내어서 함께 다녀오게되었습니다.
작년과 비슷하게 엄청나게 다양한 세션들이 존재했습니다. 다만, 세션 수는 조금 감소했고, AI 세션들이 좀더 도드라진 것 같습니다. Extended 행사를 얘기하자면 이전에 Google IO에 대해서 사실 조금 얘기해봐야되는게 이번에는 정말로 AI에 관한 주제가 많이 나오고 오히려 Flutter는 언급이 없었죠... 그런게 반영된건가 싶지만서도 또는 올해 연사자가 감소했나 싶기도 하고 그래서 Flutter보다는 AI와 관련된 이야기를 더 듣고오려 했습니다.
HANDS-ON 세션도 있었지만 가볍게 세션들을 듣고싶었습니다.
GENERAL 세션 4개와 TECH 1개, 마지막으로 AI 세션을 들었는데요. 하나씩 소개해보겠습니다.
1. Google I/O 요약만 봤다고? AI가 못 보는 진짜 이야기
저도 사실 요약만 보긴했습니다 ㅋㅋ 그렇기 때문에 직접 다녀온 연사자님의 생각이 궁금해서 듣게 되었습니다.
세션 전반적인 내용은 AI에 치중되어 소외받는 듯한 느낌을 받는 개발자의 시점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Flutter는 0번 언급되었다고 뼈를 때리셨지만, 아마 대부분의 취준 개발자들은 비슷하게 생각할 것 같습니다.
연사자님께서도 참석하신 현장에서 다른 여러나라 개발자님들과 동일하게 고민하고 있었다고 하셨습니다.
이 세션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요약만 보는 것과 현장에 다녀온 것은 다르다.!
- 현장에서 다른 여러 나라의 개발자들과 대화할 수 있었다.
- 그들도 우리와 동일한 고민을 하고 있다!
이 자체만으로도 공감이되고 AI가 얼마나 무섭게 발전하고 있는지 요새 굉장히 실감하고 있는데요. AI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기술에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2. 기여 사례로 살펴보는, 오픈소스 입문 A-Z
오픈소스 기여는 처음 시도하면 굉장히 막막합니다. 저 또한 오픈소스에 기여를 원하고 실제로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Pengoose님의 Velog는 서칭 중 여러번 본 경험이 있어서 듣게 되었습니다.
물론, 작년에도 파이썬 컨트리뷰션과 관련된 세션을 들었지만 다른 분들의 생각도 궁금했습니다.
세션은 Pengoose님의 오픈소스 기여 사례와 기여 전략에 대한 소개가 주를 이루었어요. 마지막에 슬펐던 Pengoose님의 이야기도 있었지만(Git restore .이 귀에 맴돕니다. 큐ㅠ)대체적으로 초심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셨어요.
크로스플랫폼을 공부하면 비슷한 다른 프레임워크에 대한 비교와관련된 글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KMP도 그 중 한가지였죠. RN은 아무래도 제 스타일이 아니다보니 KMP에 대한 세션을 선택했습니다. 연사자님도 무려 Toss 개발자님이셨어요!
세션은 KMP의 프로젝트 구조와 동작 원리, 전략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프로젝트 내부 구조에 대해서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주셨지만, 아무래도 초심자는 조금 이해하기 힘들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Gradle 파일을 여러번 다루어보아서 머릿속에 속속 들어왔어요.
KMP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프로젝트 구성은 어떻게 되는지 어떻게 배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해해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기회가 되면 한번 접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디자인 패턴! 공부가 아닌 발견을 하자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 반드시 거쳐야되는 단계가 디자인 패턴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세션을 통해서 디자인 패턴에 대한 이해도를 올릴 수 있겠단 생각이 들어서 선택하였습니다.
세션은 디자인 패턴에 대한 무조건적인 적용은 지양하고 Why?에 집중해야 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세션은 3기 멤버들도 함께 들었는데, 그 친구들에게 최고의 조언이아닐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처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디자인 패턴을 억지로라도 적용하려고 했어요. 포트폴리오에 넣을 코드는 완벽해야된다는 강박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달라요. 무조건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되고 코드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런 깨달음은 아무래도 간단한 앱을 제작하면서 억지로 디자인 패턴을 우겨넣게 되면 알게 되는듯 해요. 디자인 패턴은 복잡한 소프트웨어 구조에서 반복되는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니까 반대로 단순한 소프트웨어 구조에서 사용해보는 것이죠.
아무튼 말이 길어졌지만 좋은 세션이었고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5. 바이브 코딩 시대에 살아남는 개발자가 되는 방법
아무래도 대 바이브 코딩 시대죠. AI는 이제 우리의 프로젝트에 얹혀서 직접 파일을 만들어 코드를 작성하고 중간에 삽입도 하고, 딸-깍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저도 최근에 Cursor AI를 사용하고 있어요. 벽이 느껴집니다.
이 세션에서도 연사자님께서 처음 GPT가 나왔을 때만해도 이정도는 뭐라고 생각하셨지만 이후 나온 모델에서 벽을 느끼셨다고 하셨습니다. ㅋㅋㅋ
바이브 코딩 시대에서 더이상 개발자는 코드를 작성하는 직업이 아니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고 하셨습니다. 100% 공감되는 이야기였고 오히려 동기부여가 되는 이야기였습니다.
더이상 AI를 활용하지 않는 것은 바보같은 짓일지 모릅니다. 빠르게 받아들이고 새로운 정보를 계속 얻고 잘 활용하는 개발자가 되야겠다는 다짐을 하게되었습니다.
6. Gemma For Your Device
최근 기획하고 있는 개인 프로젝트는 AI기반의 섭취 칼로리 관리 앱입니다. 아이디어 자체는 지인분께서 주셨습니다.ㅋㅋ(내가 먹는 음식의 칼로리를 사진 찍어서 보내주면 계산해주는 앱 못만들어?라고 하셨다..)
듣고보니 괜찮은 아이디어인 것 같아서, Native 공부할 겸 각각 OS별로 제작할 계획인데, 둘다 동일한 모델을 사용해야 동일한 UX가 나타나지 않을까 싶어서 여러 모델을 알아보고 있었고 최근 Gemini중 Gemma 3n에 대한 정보를 듣게 되어서 해당 세션을 선택했습니다.
세션에서는 Gemma 3n의 성능과 동작방식, 여러 사용사례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세션을 들으면서 이런 모델이 어떻게 이 작은 디바이스에서 동작할 수 있냐... 외계인을 갈아 넣어서 만들었나... 감탄만 했네요.
데모에서 4B모델을 적용한 데모 앱 실행을 지켜봤습니다. 음 속도가 근데... ㅋㅋㅋㅋ 좀 느렸어요. 비동기 솔루션을 고려하는게 좋다고 연사자님께서도 말씀하셨습니다.
근데 이정도면 진짜로 사용해도 될 정도로 온디바이스 AI도 미친듯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머지않아 에이전트 단계의 AI가 스마트 디바이스에 당연하게 제공되는 세상이 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때는 스마트폰도 이 형식일지 의문이지만요.!
컨퍼런스가 끝난 후, 함께 간 멤버들과 저녁 식사를 하며 각자의 느낀 점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어떤 분은 발표 내용을 '이야기가 들리는 것처럼 느껴졌다'고 했고, 또 어떤 분은 '완전히 다른 세계를 경험한 것 같다'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여러 명이 함께 참여하면, 서로의 시각을 공유하며 더 깊이 있는 후기를 나눌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았습니다 ㅎㅎ저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AI의 발전이 주는 놀라움과 동시에 다가오는 변화에 대한 걱정도 함께 느꼈습니다.
AI의 발전은 개발자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높이고, 이제는 AI가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개발자는 더 이상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이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며, 구조를 설계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AI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 역시 필수적인 능력이 되었다고 느꼈습니다.앞으로는 이 두 가지 능력을 함께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위해 꾸준히 준비해 나가야겠다고 다짐하게 된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