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 공식문서
Express 4.x - API 참조
package.json 생성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listen(8080, () => {
console.log('http://localhost:8080 에서 서버 실행중')
})
app.get('/', (요청, 응답) => {
응답.send('반갑다')
})

//public 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을 등록해주어야 사용할수 있다.
app.use(express.static(__dirname+'/public'))
app.get('/',(요청, 응답) => {
//__dirname 현재 프로젝트 파일의 경로 + 프로젝트의 실행시키고 싶은 페이지
응답.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
nodemon.js 설치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public 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을 등록해주어야 사용할수 있다.
app.use(express.static(__dirname+'/public'))
// mongoDB 연결하기 npm install mongodb@5
const { MongoClient } = require('mongodb')
let db; //db 접속용 아이디 비번
const url = 'mongodb+srv://admin:qwer1234@cluster0.bbda3pn.mongodb.net/?retryWrites=true&w=majority&appName=Cluster0'
new MongoClient(url).connect()
.then((client) => {
console.log('DB연결성공')
db = client.db('forum'); //내 db 이름
//db 연결 성공후 서버를 띄우는 식으로 구성하는게 좋다
app.listen(8080, () => {
console.log('http://localhost:8080 에서 서버 실행중')
})
}).catch((error) => {
console.log(err)})
app.get('/',(요청, 응답) => {
//__dirname 현재 프로젝트 파일의 경로 + 프로젝트의 실행시키고 싶은 페이지
응답.sendFile(__dirname + '/index.html' )
})
//재시작 귀찮으면 nodemon => 수정될때 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주는 라이브러리 npm install -g nodemon
//nodemon server.js로 실행하면 저장시 바로바로 재시작 가능
// 누가 news로 접속하면 db에 뭔가 저장해보자
app.get('/news', (요청, 응답)=>{
db.collection('post').insertOne({title:'어쩌구'}) //colloction이름을 선택.insertOne({js 객체형태})
// 응답.send('오늘 비옴')
})
app.get('/shop', (요청, 응답)=>{
응답.send('쇼핑페이지입니다')
})
출처 : 코딩애플 - Node.js, MongoDB로 빠르게 웹서비스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