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스케줄
1. 코어 자바스크립트 복습
1) 호이스팅
- 호이스팅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었지만, 버벅 거리는 것이 있었음. 문장을 외우자
- 새로 알게되고 기억해야 하는 것
-- var는 전역, 함수 스코프를 가지고 let / const 는 블록 스코프를 가진다
- TDZ 개념 다시 확인 필요.
-- TDZ란: 변수는 선언되었지만 초기화 되기 전까지의 코드 영역
-- ** var만 호이스팅 되는 것이 아니다. let과 const도 됨, 선언 라인에 도달하기 전까지 TDZ에 존재,
그때 접근하면 Reference error가 발생함
-- var의 호이스팅은 예측하기 어려워 오류가 발생하기 쉬움, TDZ의 장점이 예상하지 못한 오류를 줄이는 것이다
2) 클로저
- 클로저에 대해 좀 더 심화된 내용을 찾아보고 정리하자.
- 2일에 한 번 복습하여도 충분할 듯
3) This
- this 바인딩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하다. 바인딩의 4가지 규칙 ( 기본, 명시적 등..) 복습 많이하기.
- 기본 바인딩 : 기본적으로 this는 js 환경의 전역 객체인 window를 가리킴
엄격모드에서는 undefined가 발생
- 암시적 바인딩 : @메서드 내부의 this,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하면 this는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가 된다.
@이벤트 헨들러 안의 this는 이벤트를 받는 html 요소를 가리킴
- 명시적 바인딩 : 함수(함수 객체)는 call, apply, bind 메소드를 가진다. 이 함수를 이용하여
this는 명시할 수 있다.
- new 바인딩 : 생성자 안에서 사용한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하는 객체를 this로 가진다.
4) 프로토타입
- 유튜브 강의로 이해도를 높임.
- 심화된 내용을 찾아보자. 멘토님이 질문한 내용을 찾아서 복습하자.
- 생성자 함수에 대한 내용 확실히 복습 필요.
5) 클래스
- 공부가 제대로 안됨. --> 집중력 부족
- 주일과 월요일에는 집중적으로 공부
2. 리액트 공부(Udemy)
- 기초부터 다시 공부하고 있는 중
- js와 jsx의 차이점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야 함.
- 커스텀 컴포넌트로 props 넘길 때, key의 조건에 따라 전개연산자로 넘길 수 있는 것을 앎
총평
1. 긍정적인 부분
2. 안타까운 부분
- 체력이 부족하여 의도한 공부시간을 다 활용하지 못함, 그에 따라 집중력이 빨리 떨어짐
3. 보완법
- 공부 순서를 지혜롭게 조정.
자바스크립트의 경우, 프로토타입과 클래스가 부족하므로, 첫 공부 시간으로 잡아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