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ry string / URL parameter

박찬욱·2023년 7월 21일
0

TIL

목록 보기
4/21
post-thumbnail

데이터를 URL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1. query string

쿼리 스트링은 URL의 끝에 ? 문자로 시작하여 'key=value'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구글에 무언가를 검색하고 URL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

`https://example.com/search?q=apple&type=fruit`

쿼리 스트링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면 서버에서 request.query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 장점

    • 매개변수 전달이 편하다
    • 서버 측에서 파라미터를 쉽게 추출하고 처리할 수 있다
  • 단점

    • URL이 길어지고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 민감한 정보를 쿼리 스트링에 포함하면 보안에 취약하다

2. URL parameter

보통 RESTful API에서 사용되며, URL 경로의 일부로 리소스를 식별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에서 "/api/${userId}"로 api 요청을 보내면 userId에 해당하는 값이 서버 측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도 서버의 request.query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장점
    • 검색 엔진 최적화에 유리
    • 의미론적으로 직관적이고 명확한 URL 구성
    • RESTful API에서 자원을 명확하게 식별하고 조작할 수 있다
  • 단점
    • 파라미터가 많아지면 가독성이 떨어짐
    • 복잡한 URL 구조로 인해 유지 보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profile
대체불가능한 사람이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