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불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Exception이 발생하면 트랜잭션을 롤백해야할까? 아니면 일단 커밋을 해야할까?
이 절에서 사용하는 이벤트라는 용어는 ‘과거에 벌어진 어떤 것'을 뜻한다. 이벤트가 발생한다는 것은 상태가 변경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메인 모델에 이벤트를 도입하려면 아래와 같은 네 개의 구성요소를 구현해야 한다.
도메인 모델에서 이벤트 주체는 엔티티, 밸류, 도메인 서비스와 같은 도메인 객체이다. 이들 도메인 객체는 도메인 로직을 실행해서 상태가 바뀌면 관련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벤트 핸들러는 이벤트 생성 주체가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한다.
이벤트 핸들러는 생성 주체가 발생한 이벤트를 전달받아 이벤트에 담긴 데이터를 이용해서 원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벤트 생성 주체와 이벤트 핸들러를 연결해 주는 것이 이벤트 디스패처이다.
이벤트 생성 주체는 이벤트를 생성해서 디스패처에 이벤트를 전달한다.
이벤트를 전달받은 디스패처는 해당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핸들러에 이벤트를 전파한다.
이벤트 디스패처의 구현 방식에 따라 이벤트 생성과 처리를 동기나 비동기로 실행하게 된다.
public class Order {
public void changeShippingInfo(ShippingInfo newShippingInfo) {
Events.raise(new ShippingInfoChangedEvent(number, new ShippingInfo);
public class ShippingInfoChangedHandler implement EventHandler<ShippingInfoChangedEvent> {
@Override
public void handle(ShippingInfoChangedEvent evt) {
//이벤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지 않으면, 직접 조회해와야한다.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ById(evt.getOrderNo());
shippingInfoSynchronizer.sync(
order.getNumber().getValue(),
order.getNewShippingInfo());
}
트리거
도메인의 상태가 바뀔때 후처리가 필요할 경우 후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트리거로 이벤트를 사용할 수 있다.
타 시스템간의 데이터 동기화
이벤트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도메인 로직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벤트 처리 흐름
1. 이벤트 처리에 필요한 이벤트 핸들러를 생성한다.
2. 이벤트 발생 전에 이벤트 핸들러를 Events.handle() 메서드를 이용해 등록한다.
3. 이벤트를 발생하는 도메인 기능을 실행한다.
4. 도메인은 Events.raise()를 이용해서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5. Events.raise()는 등록된 핸들러의 canHandle()을 이용해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6. 핸들러가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면 handle() 메서드를 이용해서 이벤트를 처리한다.
7. Events.raise() 실행을 끝내고 리턴한다.
8. 도메인 기능 실행을 끝내고 리턴한다.
9. Events.reset()을 이용해서 ThreadLocal을 초기화한다.
로컬 핸들러를 비동기로 실행하기
동기를 비동기로 실행할 이벤트 핸들러를 처리하는 방식은
ExecutorService를 선언하고 submit을 이용해서 스레드 풀에 핸들러 실행 작업을 등록하는 반면에 동기로 실행할 이벤트 핸들러는 바로 실행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