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로컬 플랫폼 웹 서비스 구현

박병훈·2023년 5월 24일
0

1. 주제 선정 이유

실제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이퍼로컬 플랫폼인 웹 사이트를 만들고 싶었다.

기획 동기는 정말 단순했다. 국비 교육중에 진행했던 맛집을 추천해주는 프로젝트가 있었다. 교육을 들을 때 강남역에서 점심 메뉴를 정하는게 너무 어려워서 직접 만들어보자! 라며 시작했던 프로젝트였다.

Spring을 사용한 단순한 게시판 형태의 사이트였고, 지도에 위치를 보여주긴 하지만, 맛집의 데이터도 유저가 직접 입력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시장에 나와있는 사이트들에 비해 전혀 경쟁력이 없었다.

그 땐 어떤 분야를 선택할지 불분명했지만, 현재는 파이썬 백엔드 개발자 라는 목표가 생겨 django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이전 프로젝트 보다 기능을 더 추가하고 더 나아가 프로젝트가 아닌 실제 사이트를 개발하여 서비스를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부트캠프를 수료하며 아직 모르는 것이 정말 많다고 느꼈고, 취업 시장도 얼어붙은 탓에 필요한 공부를 더 하자는 생각으로 기획했지만 공부의 목적이 아닌 실제 서비스라면 어디까지 할 수 있을지 한계를 시험해보고 싶었다.

2. 개발 기간 및 인원

개발 기간은 5월 1일 부터 8주간으로 계획했다.

5월 1일에 기획을 시작한 서비스고, 6월 말까지 통합 테스트 및 시험 운영을 끝내고 7월 초 부터 서비스를 시작하려고 한다.

개발 인원

Front-end : 1명
Back-end : 나(기획)를 포함한 2명

3. 기술 스택

rest-api를 중점으로 사용하며 django 사용을 목적으로 설계했다.

Front-end : React.js, Type-Script
Back-end : Python, Django REST Framework, AWS
DB : PostgreSQL

4. 협업

처음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가장 애를 먹었던 부분이었다.

1) 개발 방법

Agile Scrum : 주말 Sprint Meeting, 일별 Standup Meeting 을 진행했다.

2) 회의 도구

Slack : 기획단계부터 각 채널에 진행을 명세하며 소통하는 중이다.
Figma : 인터페이스와 디자인 설계를 위해 사용했다.
Notion : 일정을 수시로 관리하고 모두가 수정할 수 있게 공용 Notion을 활용 중이다.

3) 형상 관리

GitHub :

4) CI

GitHub Action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