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이는 다른 언어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다음 예제를 살펴보자.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따라서 함수 외부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해도 모두 전역 변수가 된다.for 문의 변수 선ㄴ언문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전역 변수가 된다.
함수 레벨 스코프는 전역 변수를 남발할 가능성을 높인다. 이로 인해 의도치 않게 전역 변수가 중복 선언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 1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즉,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할 수 있다.
단, 할당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반환한다.
var 키워드로 이름이 동일한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아무런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변수를 중복 선언하
면서 값까지 할당했다면 의도치 않게 먼저 선언된 변수 값이 재할당되어 변경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하지만 let 키워드로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 선언하면 문법 에러SyntaxError가 발생한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모든 코드 블록(함수, if 문, for 문, while 문, try/catch 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 스코프block-level scope를 따른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달리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
한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를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하면 참조 에러(ReferenceError)가 발생한다.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결국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다음 예제를 살펴보자.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경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위 예제는 전역 변수 foo의 값을 출력해야 한다.
하지만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여전히 호이스팅이 발생하기
때문에 참조 에러ReferenceError가 발생한다.
const 키워드는 상수constant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반드시 상수만을 위해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후반부에 설명한다. const 키워드의 특징은 let 키워드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let 키워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야한다.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마찬가지로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가지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 또는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자유로우나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재할당 없이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변수의 상대 개념인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한다.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원시 값을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없다.
하지만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다.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ES6를 사용한다면 var 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let 키워드를 사용한다. 이때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든다.
■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읽기 전용으로 사용하는(재할당이 필요 없는 상수) 원시 값과 객체에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한다. const 키
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하므로 var, let 키워드보다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