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예제를 실행하면 결과는 10
이 출력된다.
x = 10
코드를 만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foo
함수 스코프에서 x
식별자를 검색한다.
foo
함수 스코프에 없으면 스코프 체인을 통해 상위 스코프에서 x
변수를 검색한다. 즉, 전역 스코프에서 검색하는데, 전역 스코프에 없으면 RefferenceError
가 발생해야 하는데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암묵적으로 전역 객체에 x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생성한다. 이를 암묵적 전역implicit global
이라 한다.
이런 현상은 개발자의 의도와 다르게 동작할 우려가 있어 좋지 않다.
따라서 반드시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한 다음 사용해야 한다.
(키워드만 적어줘도 암묵적 전역은 발생하지 않는다.)
strict mode를 적용하려면 전역의 선두 또는 함수 몸체의 선두에 'use strict';를 추가한다. 전역의 선두에추가하면 스크립트 전체에 strict mode가 적용된다.
'use strict';를 선두에 위치하지 않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전역에 적용한 strict mode는 스크립트 단위로 적용된다.위와 같이 스크립트 단위로 적용된
strict mode
는 다른 스크립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스크립트에 한정되어 적용된다.
하지만 strict mode 스크립트와 non-strict mode 스크립트를 혼용하는 것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외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 라이브러리가 non-strict mode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역에 strict mode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 즉시 실행 함수로 스크립트 전체를 감싸서스코프를 구분하고 즉시 실행 함수의 선두에 strict mode를 적용한다.
함수 단위로 strict mode
를 적용하게되면 모든 함수마다 일일이 strict mode
를 적용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그리고 strict mode
가 적용된 함수가 참조할 함수 외부의 컨텍스트에 strict mode
를 적용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따라서 strict mode는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싼 스크립트 단위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lete
)strict mode
에서 함수를 일반함수로 호출하면 this
에 undefined
가 바인딩된다.
생성자 함수가 아닌 일반 함수 내부에서는 this
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만약 strict mode가 아닌 경우 window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strict mode에서 매개변수에 전달된 인수를 재할당하여 변경해도 arguments 객체에 반영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