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내용
패키지(package) : 비슷한 클래스를 모아둔 자바의 디렉토리
클래스 :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구조 : class 클래스명{
멤버(클래스)변수 : 객체 고유의 데이터
생성자(Constructor) : 객체 생성을 위한 필수
- 만약에 생성자가 하나도 없다면 기본생성자로 자동생성됨.
-
- 구조 : 클래스명([매개변수]){}
public People(String name, int age){ // 사용자 정의 생성자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메소드(Method) : 기능수행을 위한 요소
-구조 : 리턴타입 메소드명
예시 :
//getmethod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여기서 public의 의미: 제한없이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
반대로 private는 다른 클래스에서는 사용할수없다. 해당 클래스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맞나?
- 객체 내부 호출 : 메소드명([매개변수, ...]);
- 객체 외부 호출 : 클래스 참조변수.메소명([매개변수, ...]);
-구조 변수타입 변수명; - 선언
변수명 = 값; - 할당
1.정수타입 = byte(8), short(16), long(64), int(32) 여기서 정수타입의 기본은 int
2. 실수타입 = float(32bit), double(64bit)
3. 문자타입 = char(16)
4. 논리 타입 =boolean
참고로 참조타입은 힙이라는 메모리공간에 저장됨.
객체의 주소값을 참조하는 타입. 문자열(String), 배열(Array), 클래스(Class),인터페이스(Interfac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01People ppl1 = new Ex01People(); <--여기 부분이 객체를 생성하는 부분

Public class Ex04Static { String name; static String companyName; static { companyName = "playdata"; } Ex04Static(){} Ex04Static(String name){ this.name = name;} static void showCompanyName() { System.out.println(companyName);} void showName() { system.out.println(nam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객체없이 바로 결과나오려면 static이어야 한다. Ex04Static ppl1 = new Ex04Static("java"); System.out.println(ppl1.name); System.out.println(companyName); ppl1.showName(); showCompanyName(); }static 이면 객체없이도 바로 결과값이 나옴. static은 객체 소속이 아니고 클래스 영역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 단일 주석 : 소스코드에 대한 설명
/* 다중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