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적인 스토리지 증설을 위한 준비

hugeman·2024년 7월 23일
0

Server

목록 보기
6/8

수정

추가된 스토리지만 가능하고, aws생성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스토리지는 안전상의 이유로 마운팅 해제가 불가능합니다. 그냥 애초에 로드밸런싱을 이용해서 증설된 스토리지로 인스턴스 생성후 추가하게 구성하였습니다.

개요

이직한 회사의 상용화 된 서버 스토리지가 모두 사용중이라 증설을 하려고 하니, 메인 디스크에 통째로 데이터를 쓰고있어서 마운팅 해제도 못하고 증설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유동적인 스토리지 증설을 위한 내용을 정리합니다.

내용

lvm설치

suto apt install lvm2

1. 리눅스를 기준으로 OS등의 부팅에 필요한 메인디스크가 필요합니다.
(필요에 따라 파티션을 나눠서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linux 생성시 자동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2. 사용할 디스크를 lvm에 물리볼륨(PV)을 생성합니다.

스토리지 확인
lsblk

PV 생성
sudo pvcreate {/dev/lsblk로 확인한 name}

PV 확인
sudo pvdisplay

3. 2.에서 생성한 볼륨을 그룹(VG)으로 생성합니다.

VG 생성
sudo vgcreate vg1 {생성한 물리볼륨(PV)경로}

VG 삭제
sudo vgremove vg1

VG 확장 (2개 이상의 물리볼륨(PV)을 그룹화 할때)
sudo vgextend vg1 {추가할 물리볼륨(PV) 경로}

VG 조회
sudo vgdisplay

4. 3.에서 생성한 그룹을 논리볼륨(LV)으로 생성합니다.

LV 생성
sudo lvcreate -n {LV 이름} -L {용량 - 15G} {VG 이름} 
sudo lvcreate -n {LV 이름} -L 100%FREE {VG 이름} 

LV 조회
sudo lvdisplay

5. 4.에서 생성한 논리볼륨(LV)에 File System을 생성합니다.

File System 생성
sudo mkfs.ext4 /dev/{VG 경로}/{LV 이름}

6. 4.에서 생성한 논리볼륨(LV)을 디렉토리에 마운팅 해줍니다.

Mount
sudo mount /dev/{VG 경로}/{LV 이름} {Mount할 경로}

7. 부팅시 자동 마운트되게 fstab 수정

디렉토리 생성
sudo mkdir /mnt/{경로}

fstab 수정
sudo nano /etc/fstab

파일 끝에 줄 추가
/dev/{VG 경로}/{LV 이름} {Mount할 경로} ext4 defaults 0 0

이러면 증설이 유동적이고 이후, 볼륨그룹(VG)에 물리볼륨(PV) 생성해서 추가만 해주면 됩니다.

profile
한 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