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매우 짧지만 유용했기에 기록하려고 한다.
현재 백준 알고리즘 스터디 2기를 운영하면서 백준의 경우 하루에 1문제 꼴로 풀고 있는데 각 문제별로 PR 을 요청해달라는 규칙을 정했고 스터디원도 8명이 되다보니 PR 이 쌓이다보면 rebase 하고 merge 하는 것도 번거롭고, 한번 merge 하면 아래와 같이 원격 브랜치와 로컬 브랜치를 매번 삭제하는게 번거로워서 github action 으로 저걸 merge 될때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하고 싶었다.
그런데 자료를 찾다보니 레포 - settings - general 에 머지가 되면 헤드 브랜치를 자동으로 삭제해주는 옵션이 있었다.
저 옵션을 체크하고 머지해봤다.
기대했던 것은 원격 브랜치와 로컬 브랜치가 모두 삭제되는 것이었는데 사실 원격 브랜치만 머지될 때 자동으로 삭제되기만 하더라도 많은 스터디원들의 각각 문제 풀이 PR 관련 브랜치들이 머지만 정상적으로 이루어질때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어 이것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긴 했다.
로컬 브랜치 자체는 체크아웃이 되어있을 브랜치가 필요해서 그런것일까? 살짝 아쉽긴 해도 전에 아래 사진처럼 PR 이 쌓이다보면 스터디원들도 깜빡하고 지우지 않은 원격 브랜치들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그러면 PR 요청시 내가 어떤 브랜치에서 main 브랜치로 merge 를 요청하려고 하는 것인지 찾기 어려워 질 수 있는데 저 옵션 하나만으로 그런 상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용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