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var firstNum = 10; // 소수점을 사용하지 않은 표현
var secondNum = 10.00; // 소수점을 사용한 표현
var thirdNum = 10e6; // 10000000
var fourthNum = 10e-6; // 0.00001
문자
-문자의 경우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를 구분하지는 않지만 꼭 시작과 끝은 같은 따옴표여야 한다.
var firstStr = "이것도 문자열입니다."; // 큰따옴표를 사용한 문자열
var secondStr = '이것도 문자열입니다.'; // 작은따옴표를 사용한 문자열
var num = 10;
var str = "JavaScript";
document.getElementById("result").innerHTML = (num + str); // 10JavaScript
typeof 10; // number 출력
typeof "문자열"; // string 출력
typeof true; // boolean 출력
typeof undefined; // undefined 출력
typeof null; // object 출력
var num = 20; // Number 타입의 20
num = "이십"; // String 타입의 "이십"
var num; // 한 변수에 여러 번 대입할 수는 있지만, 변수의 재선언은 불가능
10 + "문자열"; // 문자열 연결을 위해 숫자 10이 문자열로 변환됨.
"3" * "5"; // 곱셈 연산을 위해 두 문자열이 모두 숫자로 변환됨.
var lotto = [1,2,3,4,5];
var lotto2 = [];
lotto2.push(1); // push를 사용하여 배열안에 값 넣음(순서대로 값 쌓임)
var lotto = [1,2,3];
var str = "abc";
lotto.indexOf(0); // -1 찾는 값이 없다면 -1 반환
lotto.indexOf(1); // 0
str.indexOf("bc"); // 2
var lotto = [1,2,3,33,22,11];
lotto.sort((a,b)=>a-b); // 오름차순
lotto.sort((a,b)=>b-a); // 내림차순
document.write(lotto);
<textarea class="form-control" rows="3" id="jasoseol">저는 인성 문제가 없습니다.</textarea>
<script>
var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jasoseol').value; // content id를 가진 태그의 값을 저장함
document.write(content) // "저는 인성 문제가 없습니다" 출력
</script>
<textarea class="form-control" rows="3" id="jasoseol">저는 인성 문제가 없습니다.</textarea>
<span id="count">(0/200)</span>
<script>
var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jasoseol').value; // "저는 인성 문제가 없습니다" 출력
document.getElementById('count').innerHTML = '(' + content.length + '/200)'; // (0/2000의 값을 변경함
</script>
<script>
function counter() {
var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jasoseol').value;
document.getElementById('count').innerHTML = '(' + content.length + '/200)';
};
counter();
</script>
<textarea onkeydown='counter();' class="form-control" rows="3" id="jasoseol">저는 인성
문제가 없습니다.</textarea> // counter()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키보드 입력할때마다 동작함
<span id="count">(0/200)</span>
<script>
function counter() {
var content = document.getElementById('jasoseol').value;
document.getElementById('count').innerHTML = '(' + content.length + '/200)';
}
counter();
</script>
if (content.length > 200) { // 크기가 200을 초과하면
content = content.substring(0,200); // 0~200까지의 값만 놔두고 그 이상은 짤라버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