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cs.python.org/ko/3/tutorial/index.html
# import this를 출력해 봅니다.
import this
참고 사이트: 링크텍스트
# 정수 1을 출력해 봅니다.
1 # 1
# 실수 1을 출력해 봅니다.
1.0 # 1.0
# 정수 1의 타입을 출력해 봅니다.
type(1) #int
# 정수 1의 타입을 출력해 봅니다.
type(1) # float
# 더하기
1+2 #3
# 빼기
3-1 # 2
# 곱하기
3*2 # 6
# 나누기
9 // 3 # 3
# 나누기 후 몫만 반환
10 // 3 # 3
# 나누기 후 나머지만 반환
10 % 3 # 1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변수명은 언더바(_)를 제외한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Nam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python-input-26-ab0680a89434> in <module>
----> 1 n
NameError: name 'n' is not defined
# 정의되지 않은 변수를 출력해 보면 어떤 오류 메시지가 나오는지 확인해 봅니다.
#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 불가
n1 =2
width = 20
height = 5
width * height #100
참고 사이트:링크텍스트
# 큰따옴표로 문자열을 정의합니다.
"korea" # 'korea'
#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을 정의합니다.
'love' # 'love'
#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의 차이를 알아봅니다.
"korea"'K' # 'koreaK'
# 줄바꿈 문자를 표현합니다.
"""
줄바꿈
문자를
표현합니다.
"""
#결과: '\n줄바꿈\n문자를\n표현합니다.\n'
# *를 통해 문자를 반복 출력합니다.
"-" * 50 #--------------------------------------------------
# 변수에 담긴 문자열의 위치를 알아봅니다.
word = "Python's hobby?"
word # 'Python's hobby?'
# 0번 인덱스의 원소를 가져옵니다.
word[0] #'P'
# 1번 인덱스의 원소를 가져옵니다.
word[1] 'y'
# 마지막 인덱스의 원소를 가져옵니다.
word[-1] #'?'
# [시작인덱스:끝나는인덱스+1] 로 문자열의 일부를 가져옵니다.
# 앞에서 6개 글자만 가져옵니다.
word[:6] #'Python'
# 뒤에서 6개 글자만 가져옵니다.
word[-6:] #'hobby?'
# 2번 인덱스부터 4개의 글자만 가져옵니다.
word[2:6] #'thon'
참고: 링크텍스트
# 소문자로 변환합니다.
word.lower() #python's hobby?
# 대문자로 변환합니다.
word.upper() #PYTHON'S HOBBY?
# 리스트 값을 생성합니다.
squares = [1, 4, 9, 16, 25]
squares #[1, 4, 9, 16, 25]
# 인덱스 번호는 0부터 시작합니다. 0번 인덱스를 가져옵니다.
squares[0] #1
# 마지막 인덱스는 -1 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squares[-1] # 25
# 뒤에서 3번째 값을 가져옵니다.
squares[-3] #9
# [시작인덱스:끝나는인덱스+1]
squares[:] #[1, 4, 9, 16, 25]
# append로 값을 추가합니다.
squares.append(7)
squares #[1, 4, 9, 16, 25, 7]
# remove로 값을 제거합니다.
squares.remove(7)
squares #[1, 4, 9, 16, 25]
참고 사이트 : 링크텍스트
# {키:값}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 딕셔너리를 정의합니다.
# 재고라는 이름을 갖는 변수에 고구마, 감자, 쪽파의 수량을 표시해 봅니다.
재고 = {'고구마': 4139, '감자': 4098, '쪽파': 100}
재고 # {'감자': 4098, '고구마': 4139, '쪽파': 100}
# 재고에 대파를 추가해 봅니다.
재고["대파"] = 345
재고 # {'감자': 4098, '고구마': 4139, '대파': 345, '쪽파': 100}
# 키를 통해 "대파"의 값을 가져옵니다.
재고["대파"] #345
# "양파" 도 추가해 봅니다.
재고["양파"] = 150
재고 #{'감자': 4098, '고구마': 4139, '대파': 345, '양파': 150, '쪽파': 100}
# del을 통해 값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del 재고["양파"]
재고 #{'감자': 4098, '고구마': 4139, '대파': 345, '쪽파': 100}
# dict를 list로 반환합니다. 이 때 키값을 가져와 리스트로 생성합니다.
list(재고) #['고구마', '감자', '쪽파', '대파']
# sorted를 사용해 재고 변수에 담긴 딕셔너리의 키값을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sorted(재고) #['감자', '고구마', '대파', '쪽파']
재고.values() #dict_values([4139, 4098, 100, 345])
재고.keys() #dict_keys(['고구마', '감자', '쪽파', '대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