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개의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담아서 처리한다.
직접 데이터를 넣어 초기화
array = [1, 3, 5, 6, 7, 8]
print(array)
>>> [1, 3, 5, 6, 7, 8]
array[1] = 4
print(array)
>>> [1, 4, 5, 6, 7, 8]
크기가 N이고, 모든 값이 0인 1차원 리스트 초기화
n = 0
array = [0] * n
print(array)
>>> [0, 0, 0, 0, 0, 0, 0, 0, 0, 0]
a = [1, 2, 3, 4, 5, 6, 7, 8, 9]
# 여덟 번째 원소만 출력
print(a[7])
>>> 8
# 뒤에서 첫 번째 원소 출력
print(a[-1])
>>> 9
# 두 번째 원소 값 변경
a[1] = 20
print(a)
>>> [1, 20, 3, 4, 5, 6, 7, 8, 9]
a = [1, 2, 3, 4, 5, 6, 7, 8, 9]
# 두 번째 원소부터 네 번째 원소까지 출력
print(a[1:4])
>>> [2, 3, 4]
# i라는 변수가 0~9까지 반복문을 돌 때 i의 값을 원소로 설정하겠다는 의미
array = [i for i in range(10)]
>>> [0, 1, 2, 3, 4, 5, 6, 7, 8, 9]
# 0부터 19까지의 수 중 홀수만 포함하는 리스트
array = [i for i in range(20) if i % 2 == 1]
>>> [1, 3, 5, 7, 9, 11, 13, 15, 17, 19]
# 1부터 9까지의 수들의 제곱 값을 포함하는 리스트
array = [i * i for i in range(1, 11)]
# 0 부터 19까지의 수 중에서 짝수만 포함하는 리스트
a = [i for i in range(20) if i % 2 == 0]
>>> [0, 2, 4, 6, 8, 10, 12, 14, 16, 18]
# 0 부터 19까지의 수 중에서 짝수만 포함하는 리스트
array = []
for i in range(20):
if i % 2 == 0:
array.append(i)
>>> [0, 2, 4, 6, 8, 10, 12, 14, 16, 18]
# 좋은 예시
array = [[0] * m for _ range(n)] # n번 반복될 때마다 길이가 m인 리스트 생성
# 잘못된 예시
array = [[0] * m] * n # 전체 리스트 안에 포함된 각 리스트가 모든 같은 객체로 인식
# N X M 크기의 2차원 리스트 초기화
n = 4
m = 6
array = [[0] * m for _ in range(n)]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array[1][1] = 5
>>> [[0, 0, 0, 0, 0, 0], [0, 5,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잘못된 예시
n = 4
m = 6
array = [[0] * m] *n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array[1][1] = 5
>>> [[0, 5, 0, 0, 0, 0], [0, 5, 0, 0, 0, 0], [0, 5, 0, 0, 0, 0], [0, 5, 0, 0, 0, 0]]
# [1][1] 만 바껴야 하는데 전체적으로 바뀜
# 1부터 9까지의 자연수를 더하기
summary = 0
for i in range(1, 10):
summary += i
>>> 45
# "Hello World" 5번 출력
for _ in range(5):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
>>>Hello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