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수민·2022년 3월 25일
0

1-블록-정보의 최소단위, 기본이 되는 정보가들어있다.
블록은 ‘정보덩어리’를 의미하며 체인은‘정보의 연결’을 가르킨다
돈의 입출금을 기록하는 ‘장부’도 이와 비슷하다
가계도와 장부는 그 자체만으로 위변조를 막는 장치가 없으므로 이것만으로는 블록체인의 신뢰성을 설명하기 어렵다.
그래서 사용하는 것이 합의형성의 방법이다. 이는 한마디로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변경하려면
관계자에의한 확인이 필요한 체계이다.

(중앙집권형)회계사에 의한 관리(TTP Trusted Third Party) 믿을 수 있는 제3자기관-> 대부분의
정보처리시스템
(분산시스템 distributed System:탈중앙화 시스템: decentralized System)-> 블록체인, 분산장부시스템(DL)
->분산,탈중앙화를 병행해서 사용하는데 , 엄밀하게는 다른 내용입니다.

이것은 가게도나 장부를 관계가 있는 사람이든 없는 사람이든 모두가 공유하는 방식이이다 . 장부를 고치면 모든사람을 속여야함
1.회계사뿐만 아니라(중앙집권형)
2.회계지식이 없는 사람 전원이 체크

과반수를 신뢰할수 있다고 봄
(51%공격)
그래도 돈을 뿌리면 매수가 가능할 것 같지만 전원이 위변조를 허가하면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모든 정보가 신뢰성을 잃게되어 모든정보가 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 가상통화(암호화폐:cryptocurrency)의 경우에는 자신이 위변조를 허가한 것 떄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통화의 가치가 폭락하게 되는 것 .
그걸알면서 허가하는 사람은 아마도없을 것
그래서 정보를 가지고있는 전원이 규칙을 지켜야 한다는 의식이 작용하여 위조나 변조가
일어나지않는 것

profile
헬창목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