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timeOnly 'com.h2database:h2'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dependency>
spring.datasource.url=jdbc:h2:../test
spring.h2.console.enabled=true
spring.h2.console.path=/h2-console
따라서 기존 사용하던 콘솔에서 DB를 열어도 데이터가 안보이는데 위와같이 spring.h2.console 설정을 하면 인메모리로 돌아가는 H2 DB에 접속해서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이 돌아가는 동안의 DB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인메모리 방식을 사용할 경우 entity와 필요한 sequence가 DB에 생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DB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그래서 인메모리 방식을 사용할 때는 application.properties에 아래 설정을 넣어 사용할 entity와 sequence를 자동 생성하도록 해야한다.
spring.jpa.database-platform=org.hibernate.dialect.H2Dialect
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drop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test
TCP 서버 방식으로 설정해서 사용할 경우 인메모리 방식에서 했던 'spring.h2.console' 설정과 '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drop'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로컬에 설치되어 있는 H2 DB의 콘솔을 사용하면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의 CRUD 기능으로 인해 변경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H2 DB를 설치하면 설정되어 있는 기본 로컬 주소는 아래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