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압축

정하윤·2023년 6월 24일
0

리눅스의 압축

  • 윈도우의 압축과는 좀 다른 형태
  • 윈도우의 경우 파일들을 묶어서 압축을 한 번에 함
  • 리눅스는 파일을 묶는 과정 하나, 용량을 줄이는 압축 과정 하나 이렇게 두 과정을 나눠서 진행
  • 파일을 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 tar
  • 압축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음 : gunzip, bizip, xz, gizip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음.
touch test1.txt test2.txt

→ 내용이 비어있는(touch) test1.txt 와 test2.txt를 현재 디렉터리에 생성

두 텍스트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음

  • 단지 두 파일을 묶는 과정이므로 용량이 줄어드는 것은 아님!!!

tar c , x

  • 여러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묶을 때 c 옵션
  • 파일을 풀때에는 x 옵션을 사용
  • f : 묶음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필수!!)
  • v : visual의 약자로 묶음 파일들을 화면에 보여줄껀지의 유무를 설정(옵션)

gzip 을 사용하여 t.tar를 압축

gzip t.tar → t.tar.gz 이 생성

압축 해제 : -d 옵션 사용

→ 압축을 해제하면 압축된 용량이 다시 원상복구 되지만 묶여있는 파일이 풀리는 것은 아님!!

  • .xz로 압축하려면 xz t.tar (압축해제 : -d 옵션)

  • .bz로 압축하려면 bzip2 t.tar (압축해제 : -d 옵션)

    tar -xzvf passenger-6.0.12.tar.gz

x : 묶음풀기

z : z옵션을 사용하여 압축해제와 동시에 묶음파일이 풀리도록 설정, 압축형태가 gzip 이라서 z 옵션을 사용!

v : visual 보여주기

f: 필수!!

  • 만약 압축 형태가 xz라면 J(대문자), bz2라면j(소문자)를 옵션으로 사용!

    위의 명령어까지 하면 현재 위치한 폴더 아래에 압축해제가 됨!!

그러나, 압축 해제된 파일들을 /var/passenger 아래에 두고 싶다면 압축해제 경로를 지정함

경로 지정은 -C(대문자 옵션 사용)

tar -xzvf  passenger-6.0.12.tar.gz -C /var/passenger

→ 압축해제와 묶음파일 풀기를 동시에 진행하여 (xvzf)

  • C 옵션뒤에 설정한 경로에(/var/passenger) 파일들을 위치시켜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