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만 할 순 없으니 이론도 배우기로 했고 스터디로 진행 하기로 했다
문제풀이~이론~연습문제까지 나같은 빡통 앍고리즘 초보에겐 좋을 것 같다
저번 이론 스터디는 무너졌는데 이번엔 잘됐으면 좋겠고만!출바알
강의에서 코딩테스트 문제를 주어주고 직접 풀어보고 답안을 확인하거나 모르겠으면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company에 를 선언하며 a를 할당 하고 연두씨의 맘이 변해 b로 값을 재할당 해주는 것 선언과 할당에 대한 개념을 잡아주려는 목적 같았다.
추천메뉴를 정식메뉴로 할당해서 리턴해준다
이 문제는 변수에 들어있는 문자열을 새로 선언한 변수에 할당해주는 것에 의미가 있어 보인다
단순한 연산 논리
도넛 한 박스당 개수 donuts
사람 수 n이 주어지고 몇 박스의 도넛을 사야하는지를 리턴해주면 끝
사내 비밀번호를 지어주는데 생년월일 + 입사년도로 정해준다 한다
이게 소문난다면 모두가 서로의 비번을 알게 되겠지..
어려웠던 문제
처음에는 솔루션의 값과 출력값만 보고 계산식을 썼다가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야겠단 생각이 들어 30분은 붙잡았던 것 같다
연습장 한장을 다 썻는데
나의 결론은 가로로 자른 횟수는 1센치 쭉 한번 자르면 끝나기 때문에 세로 길이 -1 로 정했고
세로는 가로 길이의 -1 만큼 뚝뚝 자르고 세로의 길이만큼 그걸 반복한다 그러면 ! (가로 길이 -1) * 세로 길이 가 된다
이해가 안간다면 그림을 그려보면 좀 이해가 갈 것이다..
어렵당
사실 정리하면서 또 헷갈려서 그려봤다한다
팀원분이 주신 정보
나도 원래는 출력 값에 맞춰서 return a * b- 1로 문제를 풀었고 그게 잘못 된거라 판단하여 다시 풀며 이해하는 과정을 거쳤는데
https://blog.naver.com/ndb796/221233570962
해당 링크를 주시며 입출력에서 공식이 발견된다면 수학처럼 풀어도 무방하다는 정보를 주셨다 하지만 풀이에 이유가 있어야 할테니까
위에 보내주신 정보를 보면서 그 풀이를 설명할 수 있는 내가 되어야지
이건 문제에 함수를 미리 알려줘서 편했다
주어진 숫자를 3으로 나누고 소수점을 올림 처리 해주면 분기가 되는데!
4의 경우는 1.33333
7의 경우는 2.33333
10의 경우는 3.33333
이렇게 분기가 바뀔때마다 딱 딱 맞게 계산되는 모습..
함수 몰랐다면 삽질했을 듯 하네요
소수점 올림 함수 Math.ceil() 잊지말자!
typeof() 연산자를 이용해 어떤 타입의 변수인가 문자열로 뽑아주고
주어준 출력값에 맞춰 리턴해주었다
이런 알고리즘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하는 이유가 쓰이는 함수들을 많이 알아야 해서!? 인듯한게 내장함수 하나로 간단하게 끝나는 경우가 점점 생겨난다
형변환 문제
이 망가진 계산기는 문자열과 정수를 구분없이 입력받는다
나는 문자열로 들어오는 숫자인 척 하는 문자열을 Number() 함수를 이용해 거침없이 정수형으로 바꿔주었다
혼자 풀기야 풀더라도 답변은 남기기로 하고 복기하며 답변 코드 작성도 해보았다
위에 보니까 따로 변수를 만들지 않고 바로 함수를 적용시켜서 리턴을 해주더랩죠 그래서 따라해봤고 내용은 동일한 형변환
이 문제는 사장에겐 100만원 상품권 코드 임원에겐 50만원 코드를 각자 보내주도록 하는 것인데 많이도 받는구나 사원은 얼마를 줄까
보시다 시피 위 아래가 많이 다르다
위는 나고 아래는 답안인데 나는 다른 경우도 생각하고 강사장한테도 보내지 않을까? 해서 강사장이 파라미터로 들어와도 처리가 되도록 만들었다
비효율 적일지도 모르지만 문제 풀 당시에는 저렇게 밖에 생각이 안났으니까 어쩌겠어
indexOf()함수는 저렇게 ()내에 탐색하고 싶은 문자열을 지정해주고 앞에 name에 해당 문자열이 있다면 1 없다면 -1을 리턴해준다
이 정도면 이해했으리라 생각하고
지금 고민은 정리를 하면서 문제를 풀까 지금처럼 하고 몰아서 할까.. 고오민
흡 풀이를 보니까 작은 수 부터 하면 더 간단하다는 걸 알았다
기본적인 if 문법을 익히는데 도움이 됐고
8세 이상은 모두 쿠키를 받는다는 걸 생각했다면 더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었겠다
스위치문은 항상 문법이 뭔가 난해해서 안건드리게 됐는데
이번에 문서를 보며 천천히 작성 해봤다
그런데 생각보다 별 거 없었고 위 문제 처럼 비교할 대상이 범위가 아닌 단수 일 경우에는 괜찮은 선택지 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