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다가 소수점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정리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서 작성해본다!
방법1. Math.floor, Math.ceil, Math.round, Math.trunc
Math.floor
- 주어진 숫자와 같거나 작은 정수 중에서 가장 큰 정수 값 반환
Math.floor(5.95) // 5
Math.ceil
- 주어진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숫자 중 가장 작은 정수 값 반환
Math.ceil(5.95) // 6
Math.round
- 주어진 숫자를 반올림한 수와 가장 가까운 정수 값을 반환
Math.round(5.95) // 6
Math.round(5.45) // 5
Math.trunc
- 주어진 숫자의 소수부분을 제거하고 숫자의 정수부분을 반환
Math.trunc(5.95) // 5
Math.trunc vs Math.floor
- Math.trunc는 단순히 소수부분을 제거하는 것.
Math.trunc(-5.95) // -5
- Math.floor은 내림을 하는 것.
Math.floor은(-5.95) // -6
방법2. parseInt()
- 문자열 인자를 파싱하여 특정 진수의 정수를 반환
- parseInt(string, radix)
- 매개변수 string: 문자열이 아닐 경우 ToString 추산 연상을 사용해 문자열로 변환
방법3. toString()
- 문자열로 변환한 후에 소수부분을 자른다.
number.toString().split('.')[0]
MDN parseInt
MDN Math.tru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