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P(Interior Gateway Protocol) 뜯어보기

GonnabeAlright·2022년 3월 27일
0
post-thumbnail

IGP(Interior Gateway Protocol)이란 ?

임의의 AS(Autonomous System) 내부에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구성방식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고 갱신
  • 트래픽 감소, 단순, 관리의 어려움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 자동으로 라우팅 테이블 갱신
  • 트래픽 증가, 복잡, 관리 용이

라우팅 테이블 관리 방식

Distance Vector(나침반 역할)

  • 목적지까지의 거리(Hop) 방향만을 저장
  • 라우팅 테이블 간단
  • 변화가 없어도 주기적으로 모든 라우팅 테이블 교환, 트래픽 증가
  • 주변 라우터만 교환 -> Looping 현상 발생
  • Bellman-Ford/Ford-Fulkerson 알고리즘

Link State(네비게이션 역할)

  •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 정보를 저장
  • 라우팅 테이블이 복잡, Topology 참고하여 라우팅
  • 네트워크 변화 감지(Event), 빠른 경로 재 설정
  • 변경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만 교환, 트래픽 감소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Dijkstra 알고리즘

AS 내부/외부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 AS 내부간 라우팅 테이블 교환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AS간 라우팅 테이블 교환

서브넷 정보 유/무

Classful

  •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포함

Classless

  •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미포함

RIP vs OSPF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개념

Bellman과 Ford에 의해 개발된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특징

  • 대표적인 거리 벡터(Distance Vector)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
  • TCP/IP와 NetWare IPX/SPX에서 많이 사용

동작 유형

Active 모드: 라우팅 정보를 매 30초마다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내에 발송

장점: 라우팅 정보가 즉시 전파
단점: 네트워크 부하가 늘어남

Passive 모드: Active 모드의 RIP 프로토콜을 동작시키는 라우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전송 받아 자신의 라우팅 정보를 갱신

장점: 자신의 정보는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
단점: 라우팅 정보가 전파되지 못함.

버전별 차이점

RIPv1

  • Classful, 인증 지원 하지 않음(스니핑, 도청 가능), BroadCast 광고

RIPv2

  • VLSM 지원하여 Classless 광고, MD5 인증, Multicast 광고

장점

  • 라우팅 정보의 수명이 180초로 짧기 때문에 외부 라우터와 18초 이상 교신이 끊기면 라우팅 정보를 삭제
  • 경로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
  • 구조가 단단하여 라우터 프로세서에 부담을 주지 않음
  • 최적의 경로를 찾을 경우 OSPF에 비해 매개 변수가 작음

단점

  • 홉 수가 최대 15개로 제한되어 대규모 네트워크에 부족함
  • 라우팅 정보교환은 트래픽이 많이 발생
  • 라우팅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해서 전파하며 주기가 짧아 네트워크의 부하량이 늘어남
  • 회선의 속도를 무시한 홉 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비효율적으로 라우팅 경로를 설정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개념

링크상태(Link State)의 라우팅 프로토콜, 대부분 인터넷 공급자들과 대형조직에 사용

특징

  •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연결속도를 중심으로 가중치, RIP보다 좀 더 지능적인 라우팅
  • 자율시스템(AS: Autonomous System)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동작유형

  • 모든 OSPF 라우터는 유일한 라우터 아이디를 가져야 하며 수동이나 자동으로 할당, 인터페이스가 가장 높은 IP주소를 사용
  • Point-to-Point 링크,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프레임 릴레이, ATM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
  • BMA(Broadcast Multic Access), NBMA(Non BMA) 네트워크 토폴로지 활용
  • 사용자에 의한 경로지정, 복수경로 선정 등의 기능을 제공

Hello 프로토콜

  • 라우터의 관계를 설정하고 DR 및 BDR를 선택하는데 사용
  •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에서 라우터는 Hello 패킷들을 멀티캐스트
  • Point-to-Point 네트워크에서 라우터는 Hello 메시지를 직접 라우터에 보냄.

Flooding 프로토콜

  •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변화를 라우터에 알리는데 사용

장점

  • 홉 수의 제한이 없어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라우팅 정보가 전파하는 방식으로 트래픽 양이 적음
  • VLSM을 지원하므로 IP주소 낭비 없이 사용가능

단점

  • 라우팅 알고리즘이 복잡하여 라우터에 부담이 큼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질 경우 라우터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