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때

최리나·2022년 2월 5일
0

eclipse

목록 보기
1/2

여러 원인으로 인해 기능이 제대로 돌아가지않을 것이다.
소스코드에 에러가 있는 경우도 있고,
이클립스 자체에서 뭔가 꼬이는 경우도 있고!

판단을 잘해야한다.

  1. 빌드도구로 Gradle을 쓰고 있다면
    1) 명령창에서 gradle cleanEclipse
    2) grade elcipse
    3) 이클립스 -refresh

    실행하면 이클립스 설정을 리셋시켜준다.

    => 잘돌아가던 소스가 갑자기 에러가 떴을때,
    이클립스가 꼬였을때 쓰면 직빵으로 해결된다.


  1. 간혹 컴파일 자체가 안되는 경우,
    이 경우 소스파일에
    System.out.print("000") 를 찍어서 확인해본다.

    위의 예시처럼 출력코드를 집어넣었는데도
    출력이 안된다면 바뀐 소스가 적용이 안되는 경우이다.

    1) Window메뉴-nabigator를 열고
    해당 프로젝트의 bin폴더에 있는 클래스파일을 모두 지운다.

    2) Project메뉴에서 clean을 선택
    해당 프로젝트를 체크한뒤 clean

    => 소스파일을 새로 컴파일 한다. , 클래스파일이 다시 만들어진다.

    3) 확실히 하기위해 위의 1번과 동일하게,
    설정을 다시 리셋한다.

    gradle cleanEcleapse
    gradle cleapse
    이클립스 -refresh


  2. 프로젝트 폴더안에 새 폴더를 만들었는데 제대로 표시가 안되는 경우,

    1) navigator에서 .classpath 를 확인한다. 문제가 발생한 폴더가 표시되는지 확인

    *** .classpath파일이 생성된 후, 새폴더를 만들었다면
    해당 설정이 반영이 안되었으니까 다시 설정을 잡아준다.

    2) gradle cleanEcleapse
    3) gradle cleapse
    4) 이클립스 -refresh
    5) .classpath 파일을 확인해보면 새로 만든 폴더를 다시 확인가능(설정 반영 ok)


profile
스스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공유하는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