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넷
논리 링크 제어(LLC): 2계층과3계층을 이어주는 역활
매체 접근 제어(MAC)
LAN(Local Area Network) 10M
1) Ethernet(10M)
- IEEE 802.3(CSMA/CD)
- DIX2.0(우리가 지금 쓰고있는 랜카드)
- Cat.3 / 10Base2 / 10Base5
![](https://velog.velcdn.com/images/raul00/post/4bced8b5-1faa-4808-8e70-3be8d9b005f0/image.png)
마지막 SFD는 (10101011)로 들어와야 한다. 이게 들어와야지 다음에 이더넷 이란걸 알수 있음.
리피터를 5개이상 물리면 SFD값의 변형이 생길수 있음.(Ghost Frame)
Type: 0806(APR) 0800(IP)
padding: Minimum(충돌제어를 위해 존재)값을 못채우면 오류가 발생함으로 0을 넣어서 채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전송 최대값 이더넷은 1500Bytes
ping은 IP payload에 TCP가 아닌 (8바이트의 헤더를 가진) ICMP 헤더이기 때문에 1500이 아닌 1472이다.
2) Token Ring(16M)
- IEEE 802.5(Token Passing)
- IBM
- Cat.4(20BaseT)
100M
1) Fast Ethernet
- 802.3u(CSMA/CD)
- 100BaseT(Cat.5)
![](https://velog.velcdn.com/images/raul00/post/eb5ac1bb-2928-47c7-b642-a34712db41ac/image.png)
100Base-T4 = half Duplex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장비는 1,2계층 장비만이다.
2) FDDI(Fiber Distributed Digital Interface)
- 802.12?
- Token passing/Fiber
- Dual Ring
3) 100BaseVGAny
802.11: CSMA/CA(무선LAN)
802.15: Bluetooth
802.16: Wibro(WiMax)
Auto-Negotiation(자동 협상)
1G(WWW)
1) Gigabit Ethernet(GEN)
- 802.3Z (CSMA/CA)
- 1000BaseT(Cat.6)/Fiber
![](https://velog.velcdn.com/images/raul00/post/47309bb9-15ca-4680-b515-5cf94d64e485/image.png)
10G
1) 10G
- 802.3ae(CSMA/CA)
- Fiber(광케이블만 사용)
- 40Km(반경 40Km 커버)
- S/L/E(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