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vis CI, Maven 연동

recordsbeat·2020년 5월 3일
0

원래는 code server를 이용한 웹 vscode 개발 환경을 구축하려 했으나..
인스턴스의 메모리가 부족하여 일단 후퇴

묵혀놨던 ci 구축, travis ci 연동 해봤당..

자그마치 3개의 링크가 조합된 컴비네이션

이동욱님의
TravisCI & AWS CodeDeploy로 배포 자동화 구축하기
https://jojoldu.tistory.com/265

junwoo4690 님의
Travis CI를 이용해 Maven + SpringBoot에 CI 적용하기
http://bitly.kr/qrpvvHNtz

travis ci 의
Building a Java project
https://docs.travis-ci.com/user/languages/java/

아직 개발 단계 및 배포까진 필요치 않아 travis ci만 연동 하는 것으로

Travis CI 가입 연동

나는 github 아이디로 가입..

https://travis-ci.org

가입 후 오른쪽 상단의 Setting을 가면
다음과 같이 github의 프로젝트가 보인다.

사진과 같이 프로젝트 명 옆의 버튼으로 연동 활성화

.travis.yml 작성

프로젝트 root에 .travis.yml 파일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작성

language: java
jdk:
  - openjdk8

branches:
  only:
    - master

# Travis CI 서버의 Home
cache:
  directories:
    - $HOME/.m2

# CI 실행 완료시 메일로 알람
notifications:
  email:
    recipients:
      - your@Email.com

위 세가지 링크를 짬뽕해서 만든 짧은 yml 이다.
-language와 jdk를 명시
-master branch에 커밋될 때만 해당 옵션을 실행한다.
-cache 설정을 통해 dependency를 매번 다운 받지 않도록 한다.
-notification email은 말 그대로 알림받을 이메일

※ maven 프로젝트는 아래 커멘드를 기본으로 설정한다.

mvn test -B

따라서 script 부분에 따로 적지 않아도 테스트와 빌드를 진행한다. script를 통해 다른 커멘드를 입력하고 싶을 때 다음 링크에서 도와준다.
travis ci job lifecycle
http://bitly.kr/kAjC5ztrR

github Readme.md 에 빌드 태그 달기

연동이 완료된 프로젝트를 dashboard를 통해 진입한 후
프로젝트 이름 옆 까만색 build 버튼을 누른다.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두번째 셀렉트 박스에서 Markdown을 선택

위 박스의 내용을 복사한다.

그리고 github 프로젝트 readme.md 에 추가해주면 다음과 같은 태그를 노출 할 수 있게 된다.

커밋& 결과 확인

travis ci에서 커밋이 감지 되면 (심지어 수동으로 github에 파일을 작성해도) 자동적으로 .travis.yml 설정에 따른 빌드를 진행한다.

빌드 결과는 dashboard 따위를 통해 바로 볼 수 있고
각 커밋 별 결과와 로그를 확인 할 수 있다.

혹시나 프로젝트에 다른 설정을 넣어 build가 실패한 경우
아래와 같이 travis 로그에서 친절히 알려주기 때문에 수정하면 되겠다..

기나긴 휴일의 반이 지나 갔구나 흑흑슨

profile
Beyond the same routin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