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은 RFC 1738에서 정의 되었다.RFC 1738이전에 RFC 1630에서 URI의 일부로 URL이 등장하긴 한다.URI에는 URN(Uniform Resource Name)이라는 이름 부여 규칙도 포함된다.URL은 장소로 문서 등의 리소스를 특정하는 수단을 제공
HTTP/0.9 스펙에서는 요청 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없었다.그런데 HTTP/1.0이 되면서 요청, 응답 양쪽에 헤더가 포함돼 바디와 헤더를 분리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요청 시에도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HTTP 메서드 중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기대되지 않
서버가 브라우저에 대해 리다이레트하도록 지시하는 상태코드.300번대 이외의 경우에는 Location 헤더를 사용해 리다이렉트할 곳을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달함.두 개념은 이전 페이지가 이후에도 존재하는가?로 분류될 수 있음.만약 http에서 https로 전환되는 경우
Accept: text/html, application/xhtml+xml, application/xml;q=0.9, image/webp, \*/\*;q=0.8q는 품질 계수라는 것으로 0에서 1까지의 수치로 설정한다.기본은 1.0이고, 이때는 q가 생략된다. 이 수치는
웹 사이트의 정보를 브라우저 쪽에 저장하는 작은 파일.서버가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이 파일을 보관해줘' 라고 쿠키 저장을 지시.HTTP 헤더를 기반으로 구현 됐다.Set-Cookie: LAST_ACCESS_DATE=Jul/31/2016Set-Cookie: LAST_
기본 구조는Client와 Server 간에 request하면 response하는 구조이며 하이퍼텍스트, 하이퍼 미디어 등을 전달한다.하이퍼텍스트 : 다른 문서를 참조하는 문서를 생성하는 것하이퍼미디어 : 사진, 영상 등을 포함하는 문서로의 링크를 갖는 문서ex) A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