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github 링크 시작하기에 앞서 중간중간 링크를 걸어 두었으니 참고하세요. solidity 문법과 openzeppelin 라이브러리는 안다는 가정하에 진행됩니다. 잘못되거나 문의가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1. 로컬에서 개발 1-1. 프로젝트 생성 & 설정 참고>Truffle 설치 & Ganache 연동 프로젝트 폴더 생성 후 truffle 초기화 1-2. 컨트랙트 작성 contract 폴더 안에 .sol 파일 작성 (이 프로젝트에선 MyNFTs.sol 임) openzeppelin ERC721.sol 파일 참조 mintNFT 함수는 넣어준 uri를 참조하는 토큰을 발행 1-3. 배포 스크립트 작성 mig
참고>공식문서 1. truffle 준비 >klaytn 배포시 사용할 truffle 버전 5.1.23 >truffle 5.1.23 실행시 선택한 node버전 12.22.10 >다른 상위 버전 선택시 truffle develop 안됨. truffle init 결과 프로젝트 기본구조 2. truffle 활용 현재 폴더의 contract 폴더 아래에 있는 solidity 파일이 json 형태로 변경 되어 생성됨. -
1.Truffle >- node.js에서 동작하는 Framework 로써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시 개발, 배포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 CLI 환경. 빌드 종속성으로 프로젝트에 포함 가능. 프론트엔드 프로젝트에 Smart Contract를 통합하여 애플리케이션 구축가능 고급 스마트 컨트랙트 할 때 유리. 고급은 자바스크립트와 여러 컨트랙트가 더 많은 상호 작용을 한다는 의미로 보면 될 듯 2.Remix >- Solidity 용 IDE이며 통합 디버거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 간단. 시각적. 놀이터라고 표현됨. 빠른 기능을 간단하게 테스트 할 때 유용. [Youtube - Remix vs Truffle: Which one is best for Solidity Development?](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