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eslint관련 에러를 결국 다 해결하지 못한채 제출시간이 되어 제출하였다. 코드가 막힐 때 함수를 여기저기 옮겨보고 이것저것 깔다가 충돌이 일어나고 코드가 난잡하게 되어 결국 프로젝트를 2번이나 갈아엎었다..
recoil 사용할 때 관련 기능별로 묶어 객체 안에 저장해 이용하는 편이 조회할 때 훨씬 편리하다는 생각을 느꼈다.
모달 클릭시 뒷 배경이 없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조금 더 시간이 있었다면 list 부분도 공통 컴포넌트로 재사용이 가능했을 것 같았다.
모달도 더 영리하게 코드를 짰다면 확장성있게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들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로딩 화면을 넣어놨는데 api콜이 너무 빨라 보여줄 틈이 없었다.
좀 더 간결하게 로직줄일 수 있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손 보지 못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포스터 사이즈도 너무 구겨놨는데 세로로 키우는 편이 나았을 것 같다
👉 user-select: none을 통해 드래그앤드롭시 text드래그 막아주기
👉 git은 폴더명 대/소문자 구분 못한다 ⇒ 따로 설정해주어야한다.
👉 React.FormEvent 같은거 타입 써줄 때 상단에서 import { FormEvent }해서
간결하게 타입지정해주기
👉 axios 자체가 promise이기 때문에 async await으로 감쌀 필요가 없다.
👉 backdrop-filter를 이용해서 빈 div 검은색 뿌옇게 만들 수 있다 (firefox 안 됨)
👉 webpack css autoprefixer moz같은거 다 신경써줌
👉 멘토님이 커스텀하신 lineClamp(2, 24px) 말 줄임표를 쓰기 편하게 커스텀하셨다
👉 볼드 ⇒ mark태그
👉 contextapi는 비추 → 코드 더러워짐
👉 mobile first!
항상 문제는 큰 것을 작은 것에 우겨넣을 때 문제 생김
모바일 화면을 기준으로 만드는게 코드량이 훨씬 준다.
👉 aspect-ratio, !important css
공부할 내용
👉 redux toolkit
👉 react query